외과
다리 뻑뻑, 혈관까지 울퉁불퉁… 하지 정맥류 없애려면?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7/12 21:00
◇가족력, 직업 등 원인 다양한 하지 정맥류
하지 정맥류는 여러 위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족력, 임신이나 출산, 복부비만 또는 복압을 증가시키는 만성질환, 하루 6시간 이상 서 있는 직업, 의자에 오래 앉아있는 직업, 심부정맥혈전증의 과거력, 습관적으로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 등은 하지 정맥류의 주요 원인이다.
특히 가족력이나 유전적인 요인은 하지 정맥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부 연구에서는 하지 정맥류 환자의 약 80%는 하지 정맥류로 치료를 받았거나 치료를 고민하고 있다는 최소 1명 이상의 가족이 있다고 밝혀지기도 했다. 임신은 가족력 다음으로 중요한 요인이다. 자궁이 커지면서 복압이 높아지는 물리적인 요인 외에도, 임신으로 인한 호르몬의 변화가 주요 역할을 한다.
◇다리 무겁고 붓고 쥐 자주 난다면 의심해야
하지 정맥류라고 하면 발과 다리의 혈관 돌출만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환자는 다리가 무거운 느낌, 피로감, 부기, 쥐가 자주 나는 경험을 더 많이 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아침보다는 저녁이나 야간에 두드러진다. 다리 혈관의 돌출이 없더라도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하지 정맥류를 의심하고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증상이 있는데도 방치해서 만성질환이 되면 피부 변색, 경화, 궤양 등의 합병증이 생기기도 한다.
◇절개·레이저·고주파 등 치료법 다양
하지 정맥류 치료법은 다양하다.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피부를 절개해 문제를 일으키는 혈관을 제거하는 수술법이 있다. 최근에는 절개술보다는 치료 부위에 작은 구멍을 뚫어 문제 혈관에 도관을 삽입, 열을 가하거나 접합제 또는 경화제를 주입해 폐쇄하는 수술법을 많이 시행한다. 혈관을 폐쇄하면 하지에 정체되는 혈액이 없어지면서 하지 정맥류증상이 사라진다.
열을 이용하는 치료법으로는 고주파 혹은 레이저를 이용한 하지정맥폐색술이 있다. 레이저는 500~1000℃의 열에너지로 혈관을 태워 폐쇄하고, 고주파는 약 120℃의 열로 혈관벽의 구성을 변화시켜 혈관을 폐쇄한다. 시술 부위 주변에 통증을 일으킬 수 있어, 치료 혈관 주변은 마취가 필요하다. 필요에 따라 하반신 마취나 전신마취를 하기도 한다.
접합제나 경화제를 이용한 수술은 열로 인한 통증이 없기 때문에 도관 삽입을 위한 작은 구멍을 내는 부위에 부분마취만으로 수술이 진행한다. 그러나 특정 물질에 알레르기가 있으면, 이 방법은 사용할 수 없다.
치료법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혈관외과 조성신 교수는 "하지 정맥류 치료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라며 "환자의 증상과 질환의 정도를 먼저 고려하고 나서, 추가로 미용적, 비용적, 시간적 측면을 고려해 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고탄력 압박스타킹, 발목 운동 등으로 예방 가능
하지 정맥류는 약간의 노력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다. 조성신 교수는 "가족력이나 임신, 출산 등 위험 인자가 있다면, 고탄력압박스타킹을 신는 게 하지 정맥류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위험인자가 있다면, 복압이 높아지지 않게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했다.
하지 정맥류 위험인자가 없더라도 너무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일, 같은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일 등도 피해야 한다. 조성신 교수는 "불가피하게 오래 앉아있거나 서있어야 한다면, 3분마다 한쪽 다리를 교대로 올렸다 내렸다 하거나, 발목을 까딱까딱해서 종아리 근육을 움직여 정맥의 순환을 도와주는 게 좋다"고 했다. 조 교수는 "하지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꽉 끼는 옷이나 지나치게 높은 하이힐도 피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