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다리 멀쩡해 보이는데… ‘하지정맥류’ 의심 증상은?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다리에 혈관이 튀어나오지 않아도 다리가 붓고 피곤하다면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정맥 판막은 혈액이 밑에서 위로 올라갈 때 역류를 막는 일종의 ‘밸브’로, 혈액을 ​다리에서 심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유전, 노화,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판막에 문제가 생기면 피가 역류하면서 혈액이 정체되고 혈압이 올라가는데, 이로 인해 정맥이 부풀면 다리에 혈관이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온다. 이 같은 질환을 ‘하지정맥류’라고 한다.

그러나 흔히 알고 있는 것과 달리 하지정맥류는 혈관이 튀어나오지 않은 경우에도 생겼을 수 있다. 혈관이 부풀더라도 정맥을 연결하는 통로인 관통정맥의 판막에 이상이 생기면 혈관이 잘 부풀지 않기 때문이다. 또 피부 가까이에 있는 표재정맥에 이상이 있는 경우, 판막 기능에만 문제가 있다면 내부에서 부풀어 오른 혈관이 눈에 보일 정도로 튀어나오지 않기도 한다.

따라서 혈관이 튀어나오는 증상 외에 하지정맥류의 주요 의심 증상들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우선, 다리가 자주 붓고 무거운 느낌이 든다면 하지정맥류를 의심해야 하며, 이밖에 ▲자주 다리에 쥐가 나고 저린 경우 ▲푹 쉬어도 피로감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 ▲발바닥이 화끈거리는 경우에도 하지정맥류일 수 있다.

하지정맥류는 초기에 정확한 진단·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오랜 시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정맥류 내에 혈전이 생기고 주변 부위 피부가 검게 변할 수 있다. 심하면 피부가 상해 벌어지기도 한다. 증상이 악화될수록 습진, 궤양 등 심각한 만성정맥부전으로 발전할 위험도 높다.

하지정맥류를 예방·완화하기 위해서는 평소 혈액 흐름을 방해하는 짜고 자극적인 음식, 고지방 음식 섭취를 삼가야 한다. 잘 때는 발목 밑에 담요나 베개를 둬, 심장보다 높게 다리를 올린 상태에서 취침하는 게 좋다. 까치발 동작을 자주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뒤꿈치를 들면 근육이 수축되고 정맥이 압박을 받아, 혈류의 흐름이 증가하면서 정맥에 있는 혈액이 심장으로 빨리 전달된다.




관련기사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