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혈관 안 튀어나왔는데… ‘이 증상’도 하지정맥류?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다리가 자주 붓고 무거운 느낌이 들거나 쥐가 나는 경우에도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하지정맥류’가 발생하면 다리에 혈관이 울퉁불퉁 튀어나오는 증상이 나타난다. 정맥 판막은 혈액을 ​다리에서 심장으로 보내고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데, ​유전이나 노화, 생활습관 등에 의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피가 역류하면서 혈액이 정체되고 혈압이 올라간다. 이로 인해 정맥이 부풀고 다리에 혈관이 튀어나오는 것이다.

다만, 모든 환자에게 이 같은 증상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일부 환자의 경우 하지정맥류가 있음에도 혈관이 튀어나오지 않기도 한다. 혈관이 부풀어도 정맥을 연결하는 관통정맥 판막에 이상이 생기면 혈관이 잘 부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피부 근처에 위치한 표재정맥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판막 기능에만 문제가 있다면 내부에서 부풀어 오른 혈관이 눈에 보일 정도로 튀어나오지 않을 수 있다.

혈관이 튀어나오는 증상 외에 여러 하지정맥류 의심 증상들을 함께 알아둬야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다리가 자주 붓고 무거운 느낌이 들거나 ▲자주 저리고 쥐가 나면서 ▲충분히 쉬었음에도 피로감이 지속되는 경우 ▲발바닥이 화끈거리는 증상이 있는 경우 하지정맥류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모든 질환이 그렇듯 하지정맥류 역시 초기 진단·치료가 중요하다. 치료시기를 놓치고 방치하면 정맥류 내에 혈전이 생기고 주변 부위 피부가 검게 변할 수 있다. 심한 경우 피부가 상하면서 벌어지기도 하며, 증상이 악화될수록 습진, 궤양 등 심각한 만성정맥부전으로 발전할 위험 또한 높아진다.

하지정맥류를 예방·완화하려면 평소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혈액 흐름을 건강하게 유지해야 한다. 잘 때 심장보다 다리를 높게 올리기 위해 발목 밑에 담요나 베개를 받친 채 자는 것이 좋으며, 혈액 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극적인 음식, 고지방 음식 섭취는 삼가도록 한다. 까치발 동작을 자주 하는 것도 추천된다. 뒤꿈치를 들면 근육이 수축되고 정맥이 압박을 받으면서 혈류 흐름이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정맥에 있는 혈액을 심장으로 빨리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