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혈관 울퉁불퉁? 흔한 '이 증상'도 하지정맥류 의심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주로 중장년층에서 자주 발생한다고 알려진 ‘하지정맥류’가 최근 10~20대에서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책상에 앉아서 생활하는 수험생의 경우 선천적으로 판막이 약한 편이거나, 하체 움직임이 부족하여 혈액순환에 문제가 나타나 발병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이다.

하지정맥류의 발병 원인은 다리 혈관이 늘어지고 혈액 정맥의 탄력이 떨어져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 때문이 아닌 선천적으로 판막이 약하거나 정맥 판막 기능 이상으로 수험생의 나이에도 발병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하지정맥류는 다리에 푸른 혈관이 비치기 시작하여 혈관이 튀어나오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혈관이 울퉁불퉁하지 않더라도, 다리가 자주 붓고 지속적인 저림과 통증이 계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증만 느껴지고 혈관에는 이상이 없는 초기 단계에는 적당한 운동과 압박스타킹을 착용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증상이 진행돼 혈관에 문제가 생긴 경우라면 외과적 치료를 해야 한다. 한 번 늘어난 혈관과 판막에 이상이 생겼을 때는 스스로 상태가 호전되지 않기 때문이다.

혈관이 심하게 확장되지 않았거나 작은 정맥에만 이상이 있다면 ‘혈관경화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이 요법은 문제가 있는 혈관에 경화제를 주사하여 망가진 혈관을 굳혔다가 서서히 몸속으로 흡수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큰 정맥이 망가진 상태라면, 손상된 혈관에 레이저를 쬐어 정맥을 수축시키는 레이저치료를 해야 한다. 하지정맥류를 레이저 치료로 진행할 경우 비절개로 진행하여 흉터가 거의 남지 않으며, 빠른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하다.

한솔병원 외과 전문의 김승한 진료부장은 “10대의 수험생 환자들의 경우, 학업으로 인해 오래 앉아있기 때문에 혈액순환 장애 등 하체 건강이 위협될 수 있지만, 연령이 어려 하지정맥류를 예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정맥류로 병원을 찾은 학생들은 주로 ‘만성 피로’와 ‘다리 저림’ 등의 표현을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어린 연령대에서 하지정맥류 발병이 늘어난 원인은 운동부족과 과중한 학업량으로 책상에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진 것이 주 원인”이라며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미루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진행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