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뱃살 빼려면 밥 먹고 '이렇게' 하세요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8/29 16:05
뱃살은 크게 피부, 근육 사이에 생기는 피하지방과 장기 사이 끼어 있는 내장지방으로 구성되는데, 내장 지방이 피하 지방보다 훨씬 해롭다. 피하지방은 장기에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내장지방은 염증 물질을 만든 후 전신에 퍼뜨릴 뿐만 아니라 지방산을 혈관 속으로 쉽게 침투시키기 때문이다. 내장 지방이 많으면 뱃살이 딱딱하다. 누웠을 때 뱃살 모양이 변하지 않는다면, 내장 지방이 쌓였을 수 있으므로 식사 후 산책하는 것이 좋다.
식사 후 소화하는 과정에서 우리가 먹은 음식은 포도당, 아미노산, 지방산 등 작은 단위로 쪼개진다. 이때 에너지로 사용하기 쉬운데, 바로 앉거나 누워서 쉬면 영양소가 지방으로 금세 바뀌어버린다. 실제로 밥을 먹고 난 다음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식사 후 바로 앉지 않고 20분 정도 산책하면 지방으로 쌓이는 포도당의 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비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포도당이 더 빨리 지방으로 변환되므로 식사 후 꼭 걸어야 한다. 이들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호르몬에 저항성이 커 포도당이 금세 지방으로 저장된다.
한편, 지나치게 움직이면 오히려 위장으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 소화불량이 생길 수 있으므로, 천천히 걷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내장 지방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스트레스 관리하기 ▲식사 규칙적으로 하기 ▲고강도 유산소 운동하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