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날씨 탓에 건조해진 눈, 방치하다 ‘이 증상’ 생겨

김서희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눈의 건조함이 지속되면 인공눈물을 쓰는 게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건조함이 심해지는 봄에는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기 쉽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안구건조증이 스마트폰 관련 6대 질환 중 1위였을 정도로 안구건조증은 현대인의 질환이다. 안구건조증 완화에 도움 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안구건조증, 각막손상·염증 위험
안구건조증은 건조한 날씨 탓에 눈이 건조하고 뻑뻑하며 시리고 쓰라린 느낌, 눈 피로감, 침침한 증상 등이 나타난다. 특히 소프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건조함을 더 느낄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증상이 워낙 다양하고, 시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방치하면 일상생활을 하기가 불편해진다. 증상이 생겼을 때 즉시 치료해야 각막이 손상되고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안구건조증을 방치하면 증세가 점점 심해지고, 만성화된다. 그러면 치료가 잘 안 되고, 드물게는 각막 손상 탓에 시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인공눈물, 아침 제일 효과적
눈의 건조함이 지속되면 인공눈물을 쓰는 게 좋다. 인공눈물은 기상 직후 넣는 게 제일 효과적이다. 눈을 감고 자는 동안 눈이 가장 건조해지기 때문이다. 잠을 자면 신진대사가 느려지고 눈을 깜빡이지 않는데, 이때 눈의 눈물 생성이 감소된다. 방부제가 들어있지 않은 인공눈물은 하루에 4회 이상 사용해도 괜찮다. 단, 방부제가 들어있지 않은 만큼 유통기한인 하루를 넘기지 않는 게 중요하다. 반면, 방부제가 포함된 인공눈물은 하루에 4번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인공눈물을 넣을 때는 고개를 30도 정도 뒤로 젖힌 뒤 아래 눈꺼풀을 살짝 당겨 흰자위나 빨간 살 부분에 살짝 떨어뜨려야 한다. 고개를 완전히 뒤로 젖히고 인공눈물을 넣으면 용기 끝이 눈에 닿을 수 있어 주의한다. 이는 눈의 세균 감염 위험을 높인다.

◇올바른 생활습관과 운동해야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눈물의 증발을 막기 위해 실내 온도를 18~24도로 유지하거나 가습기를 이용해 습도를 40~70% 유지해야 한다. 히루 3번 이상 환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만성적인 안구건조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루에 8~10컵 정도의 물을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운동도 안구건조증 완화에 효과적이다. 캐나다 워털루의대 연구에 따르면 운동선수들은 비운동선수들보다 운동 후 눈물의 질과 눈물막 안정성이 상당히 증가했다. 눈물막은 기름, 물, 단백질 등 3가지 층으로 구성돼 있어 안구 표면을 촉촉하게 만들고 먼지, 노폐물 같은 자극성 물질을 막아주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증상이 계속되면 안과를 방문해 전문의와 상의해야 한다.




관련기사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