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시력 도둑 '이 질환'… 20년간 천천히 진행돼 이상 몰라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3/06 20:00
녹내장은 생각보다 흔한 질병이다. 국내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40세 이상에서 녹내장 유병률은 4.2%이고, 녹내장이 의심되는 경우(녹내장 의증)까지 포함하면 9.4%에 이른다. 녹내장은 20년 이상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시야가 좁아져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소리 없는 시력 도둑'이라고 불린다. 빨리 진단 받고 안약·레이저·수술 등의 치료로 안압을 낮춰야 실명에 이르지 않는다.
◇고령화·근시 증가로 녹내장 늘어
녹내장의 대표 위험인자는 '근시'다. 근시가 있으면 안구 길이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지게 되는데, 안구 길이가 길어지면 안구에 붙어 있던 시신경, 망막 등이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손상 위험 또한 높아진다. 근시는 과거보다 근거리 작업이 많아져 유병률이 높아졌다. 근시의 증가는 녹내장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녹내장은 노화와도 관련이 있다. 나이가 들수록 녹내장 발생이 증가한다. 70~80대는 10명 중 1명은 녹내장이 있다.
◇정기 검진으로 조기 발견해야
녹내장은 안압이 높아 시신경이 눌려 손상되거나, 시신경으로의 혈류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게 된다.
녹내장은 크게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급성은 안압이 갑자기 상승하여 눈의 통증이나 두통이 매우 심한 경우다. 이 경우 환자들은 주로 응급실을 통해 내원한다. 반면 만성 녹내장 환자,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 나라에 많은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는 안압이 정상인 경우도 있고 별다른 증상도 없어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고,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많이 진행한 뒤라 치료가 어렵다. 진단을 받게 되면 안약을 점안하거나 경우에 따라 수술을 하기도 하지만 이 치료들 모두 안압을 낮추어 더 이상의 손상을 막는 것이 목적이지 이미 손상된 시신경을 회복시키지는 못한다. 따라서 녹내장은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하는 질환이다.
녹내장에 대한 정기 검진(안압 검사, 안저 검사)은 특별한 위험인자가 없다면 40세 이하에서는 5~10년마다, 40세 이후에는 2~3년마다, 65세 이후에는 1~2년 마다 받는 게 좋다. 녹내장의 가족력이나, 당뇨 등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다면 40세 이전에는 2~3년 마다, 40세 이후에는 1~2년마다 정기적인 검사를 할 것을 권고한다. 이러한 정기검진에서 녹내장이 의심되는 소견이 나타난다면 즉시 정밀 검사를 시행해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