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과

어제도 자다 깨서 화장실 갔나요? 원인은 바로…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자다 깨서 소변을 보러 간다면 원인을 파악해 적극 치료해야 한다./클립아트코리아

밤에 자다 깨서 소변을 보러 화장실에 간다면 원인을 점검해보자.

밤에 소변이 자주 마렵다면 야뇨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비뇨기에 이상이 없는데도 자다가 깨 화장실을 가는 증상으로, 환자의 70% 이상이 50세 이후 성인이다. 노화, 유전적 요인, 몸의 건강 상태 등이 영향을 끼친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은 야뇨증을 유발하는 대표 요인 중 하나다. 코를 심하게 골면 숨이 통하는 길목이 막혀 복부 압력이 커지고 방광이 자극을 받는다. 콩팥 건강 상태에 문제가 있어도 야뇨증이 생기는데,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노폐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다. 몸 안에 노폐물뿐 아니라 수분도 함께 쌓여 소변이 자주 마려운 것이다.

변비도 원인 중 하나다. 대변이 직장에 차면 방광을 눌러, 방광 신경이 소변이 찬 것으로 착각해 뇌에 잘못된 신호를 보낸다.

나이가 들면서 배뇨신경과 방광 근육 기능이 약해지는 노인은 과민성방광일 수 있다. 의지와 관계없이 방광 근육이 수축하는 질환이다. 건강한 방광은 소변이 300~500mL 찼을 때 반응하지만 과민성방광은 반만 차도 소변을 내보내라는 신호를 보낸다. 잠을 자다가 두 번 이상 화장실에 가려고 깬다면 과민성방광으로 볼 수 있다.

밤에 깨서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이라면 비뇨의학과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아보는 게 좋다. 일상 생활 속에서는 물 섭취량을 조절하고, 소변을 참는 연습을 하는 게 도움이 된다.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