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외과

회식 음주 후 '전동킥보드' 그리고… 사지마비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 장치 사고 3년새 8배

“그 날 회식에서 술을 조금 마시고 전동킥보드를 타고 집에 갔어요. 무언가 덜컥했는데, 정신을 차려보니 병원 응급실이었고 팔다리가 움직이지 않았어요”

젊은 회사원이 한 순간의 사고로 응급 수술까지 받았지만, 현재까지 안타깝게 사지마비 상태라고 담당 주치의였던 대한신경손상학회 최일 위원(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신경외과)이 말했다.

이처럼 한순간에 돌이킬 수 없는 장애를 남기는 전동킥보드 같은 개인형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건수는 2017년 117건에서 2020년 897건으로 3년새 7.7배 늘었고, 부상자 수는 같은 기간 124명에서 985명으로 7.94배 늘었다.

전동킥보드는 보호 장치가 없어 부상 위험이 크다. 헬멧 착용 의무화 조치도 지난 5월부터 시작됐다. 그래서 머리나 척추 손상 같이 중증 손상 위험이 높다. 대한신경외과학회 산하 대한신경손상학회는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가 신경손상계의 악동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위험성을 경고했다. 개인형 이동장치는 전동 킥보드 외에 전동 이륜평형차, 전동 보드 등이 있다.




이미지

개인형 이동장치들/출처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현재 개인형 이동장치 기준은 ‘최고속도 25km/h 미만, 총중량 30kg 미만인 개인형 이동장치 중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전기를 동력으로 1인 또는 2인이 이용하기 위한 교통수단’을 말한다.

최일 위원은 "국내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는 연평균 47.4%로 증가하고 있고, 유사 교통수단인 자전거 보다 최대 1.5배 이상의 사고 심각도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사고 유형의 79.8%가 운전 미숙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량 단독 사고이며, 낙상으로 인해 하지(Lower Limb), 발(Foot), 늑골(Rib), 머리(Head), 척추(Spine)의 상해 발생률이 높다"고 말했다.

특히 머리와 척추 손상의 경우는 돌이킬 수 없는 장애를 남길 수 있어 더욱 위험하다. 최일 위원은 “개인형 이동장치의 경우 오토바이 보다는 속도에서 덜하지만 사람 또는 자동차에 부딪혔을 때 오토바이 사고와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뇌 손상으로 인한 출혈, 척추 손상으로 인한 신경 손상을 당하면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아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먼저 두부 외상에서는 두개골 골절, 경막상 출혈, 경막하 출혈, 뇌내 출혈 발생 위험이 있다. 응급 수술이 필요하고, 처치가 제대로 안되면 장애가 남을 수 있다. 척추 손상 역시 위중하다. 경추가 손상되면 사지마비, 흉추는 하지마비, 요추는 보행장애 등의 위험이 있다. 최일 위원은 “완전 손상의 경우 회복률이 10~15%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미지

두개골 골절, 경추 손상 사진/출처=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증가와 부상의 심각성으로 인해 정부는 지난 5월부터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에 대한 도로교통법 개정안을 전면 시행했다.

도로교통법 개정안에 따라 만 16세 이상만 취득할 수 있는 '제2종 원동기장치 자전거면허' 이상의 면허를 보유한 사람만 개인형 이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과태료는 △무면허 운전시 범칙금 10만원 △안전모 미착용시 범칙금 2만원 △승차 정원 위반시 범칙금 4만원 △음주운전 10만원 및 음주측정불응 13만원 △13세 미만 어린이 운전시 과태료 10만원 부과 등이다.

현재 개인형 이동창치는 자전거 도로에서 탈 수 있다. 자전거 도로가 설치되지 않는 구간은 차도 우측 가장자리로 다녀야 한다. 최일 위원은 “인도로 다니면 보행자와 부딪힐 위험이 크고, 보도블럭 자체가 일정하지 않아 걸렸을 때 이동장치가 뒤집어지는 등 운전자의 부상 위험도 높다”며 “헬멧을 꼭 착용하고 1인 이상 타지 않는 등 승차 정원을 꼭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개인형 이동장치 사용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자전거 도로의 확산도 필요하다.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최근 실시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개인형 이동장치는 2016년 6만대에서 2022년 20만대로 3배 이상 증가를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