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이 시간'에 일하는 사람, 교통사고 위험 3배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야간 근무를 하는 사람은 인해 교통사고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야간 근무를 하는 사람은 수면 장애로 인해 교통사고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주리대 연구팀은 미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약 2000건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 시뮬레이션을 만들어 교통사고 위험을 높이는 요인을 도출했다. 그 결과, '교대 근무 수면 장애'가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3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면증이나 수면무호흡증만 있는 사람도 교통사고 위험이 각각 33%, 29% 높아졌다.

교대 근무 수면 장애란 야간 근무, 교대 근무 등으로 인해 통상적인 근무시간(9시~6시)에 근무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 발생하는 수면 장애를 일컫는다. 연구팀에 따르면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잠에 드는 일반적인 생활패턴에서 벗어나면 정상적인 수면으로 이어지기 어렵다. 불면증이나 수면무호흡증 수면 관련 질환을 동반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연구를 주도한 프라빈 에바라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교통사고의 위험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며 "야간 혹은 교대 근무를 하는 사람들의 졸음운전을 예방하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거나 고속도로 휴게소를 설치하는 등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수면 과학(Sleep Science)'에 최근 게재됐다.




관련기사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