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일반

"지역 경제수준 따라 심장병 발생 위험 달라"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지역 경제수준이 주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지역 경제수준이 주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대안암병원 이식혈관외과 권준교 교수팀은 전국 각 지역의 경제수준을 2009년 기준 인구 수에 따른 지역내총생산(GRDP)을 기반으로 3단계로 분류했다. 분류상 상위 그룹에 속하는 지역은 울산광역시, 충청남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서울특별시, 충청북도, 경기도이며, 중간지역은 인천광역시, 강원도, 전라북도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수준의 지역에는 제주특별자치도,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등이 해당됐다.

또한, 권 교수팀은 2002~2009년 국가검진을 받은 100만명 중 심혈관질환을 새로 진단받은 35만6126명을 분석한 결과, 거주 지역 경제 수준에 따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가 달랐다. ​지역 내 총생산이 높은 지역과 보통 지역 사이의 차이는 없었지만, 지역 내 총생산이 높은 지역에 비해서는 낮은 지역 주민의 심혈관질환 위험이 16% 높았다.

권준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인의 예방 노력뿐 아니라 지역 내에서 정책적으로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방활동을 체계화시켜야 한다"며 "지역 특화 정책을 통해 더욱 체계적인 심혈관질환 예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BMC Cardiovascular Disorders'에 게재됐다. ​​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