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스트레스, 우울로 이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슬비 기자
입력 2023/08/03 16:17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우울 증상을 유발한다고 알려졌다. 스트레스는 시상하부 외측고삐핵(lateral habenula)에 위치한 글루탐산성 신경세포 활성을 촉진해, 스트레스를 줄이고 쾌락 수치를 높이는 호르몬인 도파민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해 우울 증상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일상적인 스트레스도 외측고삐핵 글루탐산성 신경세포 활성화를 유발하지만, 우울 증상은 발생하지 않아, 많은 연구자가 우울 증상 유발을 상쇄시키는 내재적 시스템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해 왔다.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진 않았다.
고려대 의대 해부학교실 김현 교수팀은 우울 증상 유발을 상쇄하는 내재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고삐핵 미량아민 신호전달계와 우울 행동 사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스트레스 기반 우울증 동물모델은 고삐핵에서 미량아민을 생산하는 AADC(L-amino acid decarboxylase) 유전자 발현이 특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인위적으로 고삐핵에서 AADC 발현을 감소시켰고, 그 결과 우울 증상이 유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감소한 AADC 유전자의 발현을 회복시키면 우울 증상이 완화됐다.
김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규명한 외측고삐핵 미량아민 신호전달계가 글루탐산성 신경세포 활성화 효과를 제어한다는 사실은 우울증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세계적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자매지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