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코로나19 팬데믹 3년, 정신건강·만성질환 악화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4/28 06:30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한국인의 우울감·스트레스, 당뇨병이 지속적으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소년의 정신 건강 지표가 나빠진 것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이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활용해 분석한 코로나19 유행 전후(2019~2021년)의 우리나라 성인(만 19세 이상) 주요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지표를 보면, 코로나 유행기간 동안 한국인의 정신·육체 건강이 악화했다. 우울감 경험, 스트레스 인지율, 당뇨·고혈압 지표가 모두 높아졌다.
구체적으로 보면, 우울감 경험률은 2019년 5.5%에서 2020년 5.7%로 소폭 증가(0.2%p)했다가 2021년 6.7%까지 증가했다. 같은 기간 스트레스 인지율은 25.2%에서 26.2%로 증가(1.0%p)했고, 2021년에도 그 수준이 유지됐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30세 이상)은 2019년 8.0%에서 2020년 8.3%로 증가(0.3%p), 2021년 다시 8.8%로 증가(0.5%p)했다. 반면, 같은 기간 당뇨병 진단경험자(30세 이상)의 치료율은 91.9%에서 91.5%로 감소(0.4%p)했고, 2021년 다시 91.2%로 소폭 감소(0.3%p)했다.
비만,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에 개선됐다가, 2021년 악화했다. 비만율(자가보고)은 2018년 31.8%에서 2020년 31.3%로 소폭 감소(0.5%p)했다가, 2020년 32.2%로 증가(0.9%p)했다. 고혈압 진단 경험률(30세 이상)은 2019년 19.4%에서 2020년 19.2%로 소폭 감소(0.2%p)했으나, 2021년에는 20.0%로 다시 증가(0.8%p)했다.
이 같은 경향은 청소년에게서도 나타났다. 질병청의 '제17차(2021) 청소년건강행태조사 통계'를 보면,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청소년의 정신건강 지표도 악화했다. 청
소년의 우울감 경험률은 2020년 25.2%에서 2021년 26.8%로 1.6%p 상승했다. 성별로 보면, 우울감 경험률은 2021년 남학생 22.4%, 여학생 31.4%로 2020년 20.1%, 30.7%보다 증가했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남학생 28.1%, 여학생 40.7%에서 각각 32.3%, 45.6%로 악화했다.
외로움 경험률과 중등도 이상 범 불안장애 경험률도 남녀학생 모두 소폭 증가했다. 외로움 경험률은 남학생 10.5%, 여학생 18.0%에서 각각 12.3%, 19.9%로 늘었다. 범 불안장애 경험은 남학생 8.0%, 여학생 14.7%에서 각각 9.3%, 15.6%로 증가했다.
다만, 신체활동은 약간 증가했다. 하루 60분 주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21년 남학생 20.7%, 여학생 8.1%로 2020년 대비 남녀학생 모두 소폭 증가했다. 전년도 신체활동 실천율은 각각 19.9%, 7.7%였다. 그러나 해외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미국 청소년건강행태조사(YRBS)에서 하루 60분 주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019년 44.1%였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 유행이 이어진 지난 2년 동안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등 일부 건강행태와 정신건강, 당뇨병 관리지표의 지속적 악화추세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청소년은 코로나19 상황 이후 1, 2차년도 결과가 다른 양상을 보인 신체활동, 정신건강 지표에 대해, 관련 요인 등 심층분석을 시행하여 발표하고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