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앉을 때마다 엉덩이 쑤시는 이유 ‘이것’ 때문?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좌골점액낭염’이 발생하면 염증이 골반 하부를 지나는 좌골신경을 자극하면서 통증을 유발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40대 직장인 정씨는 직업 특성상 자리에서 일어나거나 외부로 나가는 일이 드물다. 하루 대부분을 앉아서 보내는 경우가 많은데, 얼마 전부터 앉을 때마다 엉덩이에 쑤시는 듯한 통증이 느껴졌다. 초반엔 콕콕 찌르는 정도의 통증이었다면, 최근에는 앉는 것도 힘들 만큼 증상이 심해졌다. 병원을 찾은 정씨는 ‘좌골점액낭염’ 진단을 받았다.

좌골점액낭염은 엉덩이 쪽 좌골 주위 조직인 점액낭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염증이 골반 하부를 지나는 좌골신경을 자극하면서 통증을 유발한다. 앉을 때마다 엉덩이가 자주 배기고 통증이 느껴진다면 좌골점액낭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좌골점액낭염은 앉아서 지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발생 위험성이 높다. 특히 엉덩이 살이 없어 엉덩이 부근 근육층이 얇은 사람에게 자주 나타난다. 쿠션 기능을 하는 엉덩이 살이 없으면 점액낭이 압박을 쉽게 받기 때문이다.

좌골점액낭염으로 인해 허벅지 뒤쪽이 저리거나 감각 이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디스크 관련 질환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다. 디스크는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사라질 수 있지만, 좌골점액낭염은 앉아 있을 때 심한 통증을 느끼고 일어서거나 걸을 때는 통증이 없다.

좌골점액낭염은 대부분 발병 초기 물리치료·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할 경우 환부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놓기도 한다. 좌골점액낭염을 방치하면 관절에 물이 차는 ‘관절수증’이나 천골(꼬리뼈)과 장골(엉덩이뼈)의 연결 부위에 손상·염증이 생기는 ‘천장관절증후군’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좌골점액낭염이 있다면 앉아서 보내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앉을 때는 딱딱한 곳에 엉덩이가 닿지 않도록 쿠션감이 좋은 방석을 사용하도록 한다. 음주도 피해야 한다. 알코올은 혈액순환을 방해해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엉덩이 근육을 강화해주는 스쿼트 동작은 좌공점액낭염 예방에 효과적이다.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