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심근염 걱정되는 30세 미만, '화이자 백신만'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30세 미만은 화이자 백신만 접종할 수 있다./연합뉴스DB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심근염, 심낭염 등이 생겼다는 국내외 보고가 이어진 가운데 정부가 30세 미만 접종을 화이자로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은 17일 30세 미만 기본접종 시 mRNA 백신 중 화이자 백신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최근 일부 유럽국가는 모더나 백신의 심근염·심낭염 발생 확률이 화이자 백신보다 높아 30세 미만에 모더나 백신 접종을 제한한 바 있다.

예방접종위원회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과 달리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 간의 심근염·심낭염 신고율 등에 큰 차이가 없지만, 안전을 위한 선제적인 조치를 취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30세 미만은 기본접종(1차·2차접종)을 모더나 대신 화이자 백신으로 권고하고 ▲모더나 백신으로 1차접종한 30세 미만의 경우 2차 접종은 화이자 백신 접종을 권고했다. 모더나 백신을 활용한 추가접종은 기본접종의 절반만 사용하므로, 18세 이상 접종이 가능(우선 접종직업군 등)하다.

우리나라에서 모더나 백신은 이달 6일까지 총 1241만회 접종 되었으며, 이 중 30세 미만에게는 287만회가 접종됐다. 심근염, 심낭염 의심 신고는 모더나 백신의 경우 30세 미만에서 총 37건으로 10만 명 당 1.29건, 화이자는 30세 미만 1104만 건 접종 중 152건이 신고되어 10만 명 당 1.38건이다.

신고 사례 중 심근염 심낭염으로 진단이 확인된 건수를 기준으로 30세 미만에서 모더나는 10만 건 당 0.49건, 화이자는 0.45건을 보이고 있어, 모더나의 발생률이 약간 높은 상황이다. 반면, 국외 사례를 보면 독일, 프랑스 등에서 특히 30세 미만 연령층은 드물지만 심근염, 심낭염 발생률이 모더나 백신에서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 때문에 해당 연령층에는 기본접종을 화이자 백신으로 권고하는 국가가 증가추세이다.

한편, 추진단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권고를 반영하여 오는 18일부터 30세 미만 연령층은 기본접종(1차, 2차접종)에 모더나 백신 사용을 제한하고,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