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백신 80% 접종했는데 '위중증' 사상 최대… '미스터리'?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11/15 17:24
생각보다 짧은 백신 효과… “그래도 고령층, 믿을 건 백신뿐”
부스터샷 간격 6개월 보다 줄일 수도
코로나 백신 접종 완료율이 15일 0시 기준 78.1%를 기록했다. 18세 이상만 따지면 90.4%로 90%를 넘어섰다. 집단 면역의 기준이었던 70%를 훌쩍 넘어섰는데, 확진자는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위중증 환자는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 13일은 위중증 환자가 485명으로 가장 많았고, 15일은 위중증 환자가 471명로 소폭 떨어졌다.
백신은 처음 개발됐을 때만 해도 감염 예방 효과가 90% 이상(화이자·모더나 백신)으로 나타나 ‘종식’까지 기대했다. 올 상반기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종식은 불가능하며 ‘위드 코로나’로 상황이 바뀌었다. 다행인 것은 백신의 ‘중증 이행 방지’ 효과는 델타 변이에도 90% 이상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높아지는 백신 접종률이 무색하게, 왜 위중증 환자는 급증하는 것일까?
◇"짧은 효과… 중증 이행 방지 노년층서 더 떨어져"
첫째, 백신의 한계다.
코로나 백신은 현재 유행 중인 델타 변이 바이러스 이전에 만들어졌다.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 방지환 센터장은 “델타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감염 예방 효과는 40~90%로 감소했다”며 “입원이 필요한 환자가 2배 정도 증가했고, 중환자실 입원 또는 사망 위험이 2.4~4.9배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 백신은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가 떨어지는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델타 변이가 등장하면서 백신 감소 효과는 가속화됐다"고 말했다.
백신의 감염 예방 효과 외에 ‘중증 이행 방지’ 효과는 델타 변이에도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주된 의견이었다.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백신을 맞으면 중증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한 것은 섣부른 판단이었다"며 "백신 효과 떨어지면 중증 진행률도 다시 높아질 수 있고, 관련 연구도 계속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고령층의 경우 백신 효과 감소로 인한 피해가 젊은층 보다 크다. 코로나 백신을 맞으면 면역 반응이 유발돼 코로나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중화항체’가 생기는데, 이 중화항체는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진다. 방지환 센터장은 "중화항체 감소 속도는 젊은층보다 고령층에서 더 가파르다"며 "중화항체가 떨어져도 ‘기억세포 반응’이 나타나 돌파감염이 돼도 재빨리 면역반응을 일으켜 중증으로 진행하지 않게 하는데, 기억세포 반응 역시 젊은층에 비해 고령층은 잘 안 일어난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현재 위중증 환자의 80% 이상은 60세 이상이다.
백신 접종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도 위중증 환자가 늘고 있는 이유. 둘째 바이러스 특성에서 기인한다.
코로나 바이러스 같은 호흡기 바이러스는 겨울이면 활개를 친다. 겨울엔 실내 생활을 많이 해서 바이러스 접촉 기회가 늘어나는 환경이 된다. 지난해에도 11월 초부터 확진자가 늘어났으며 12월에는 1200 명을 훌쩍 넘어서는 등 당시로선 사상 최대 확진자가 나왔다. 방 센터장은 “올해도 본격적인 겨울에 접어들면 확진자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고령층은 부스터샷 맞아야
‘짧은’ 백신 효과 때문에, 코로나에 걸리면 사망 위험이 높은 고령층은 부스터샷을 맞아야 한다. 백신 효과가 짧기는 하지만, 감염 예방· 중증 이행 방지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므로 부스터샷을 접종해야 한다. 방지환 센터장은 "코로나에 걸려서 사망하는 것은 결국 고령층"이라며 "코로나로 인한 희생자를 줄이기 위해 현재 할 수 있는 것은 부스터샷을 맞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바이러스가 활개를 치는 본격적인 겨울 이전에 부스터샷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백신 감소 효과는 현재 확진자 분석만 해도 알 수 있다. 확진자의 30% 이상은 60대 이상이고, 그 다음은 얀센 백신 접종을 많이 한 30대, 백신 접종을 안한 10대 순이다. 김우주 교수는 "결국 백신 효과 떨어져서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는 것이므로, 위중증 진행 위험이 높은 고령층은 부스터샷 맞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백신 접종 완료 시점으로부터 6개월이 지난 사람들을 대상으로 부스터샷 접종을 시행하고 있지만, 최근 위중증 환자가 증가하면서 이 간격을 5개월로 줄이고자 논의를 하고 있다. 지난달 25일부터 60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부스터샷 접종이 시작됐다. 15일 오늘부터는 50대 연령층도 부스터샷 접종을 시작한다. 그러나 50대의 경우 부스터샷 접종 사전 예약률이 3.88%(14일 기준)에 불과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