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축구선수 토레스 부상, 뇌진탕 가능성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장서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축구선수 토레스가 경기 중 머리 부상을 당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검사 결과 큰 이상은 없다/사진=조선일보 DB

스페인 축구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공격수 페르난도 토레스가 경기 중 머리 부상을 당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CT(컴퓨터단층촬영) 결과 큰 이상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토레스는 오늘(3일) 스페인에서 열린 2016-2017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25라운도 레포르티보 라코루냐 원정 경기 후반에 교체 투입됐다. 후반 40분 베르간티뇨스와 공중볼을 두고 경합하다 두 선수의 머리가 부딪쳤다. 토레스는 떨어지면서 그라운드와 머리가 또 한 번 충돌했고 의식을 잃었다. 의료진이 긴급 투입됐고 토레스는 바로 병원으로 옮겨졌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토레스의 머리와 목에 대한 CT 검사 결과 이상은 없었고 더 지켜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토레스 부상은 뇌진탕의 일종으로 추정되고 있다. 뇌진탕은 머리에 강한 힘이 작용한 직후 순간적으로 의식을 잃지만, 뇌가 파괴되지는 않는 상태다. 흔히 뇌진탕이라고 하면 심각한 뇌 손상으로 여기지만 실제로 대부분은 2시간 이내에 의식이 회복되는 가벼운 외상이다. 하지만 사고 이후 '뇌진탕증후군'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구토, 두통, 어지럼증, 기억력·집중력 저하, 우울감, 피로 등의 후유증이 모두 '뇌진탕증후군'에 속한다. 보통 한 달이 지나면 사라지지만 뇌의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1년 이상 이어지기도 한다. 신경전달물질이 잘 분비되지 않아 뇌 기능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뇌진탕증후군은 CT나 MRI(자기공명영상)로는 잡아내기가 힘들다. 현재는 심리·인지기능 평가를 통해 알아낸다. 필요에 따라 신경과·신경외과·재활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의 의료 전문가가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기도 한다.

따라서 CT나 MRI 상으로 이상이 없더라도, 뇌진탕을 겪은 후 두통, 어지럼증, 수면장에, 우울감 등을 느낀다면 3개월 정도 정기적으로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치료는 증상에 따라 다르다. 두통·어지럼증에는 약물치료를, 우울증에는 약물과 상담치료를 한다. 인지기능이 떨어지면 인지재활치료를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