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국내 의료진, 척추 기형 앓는 쌍둥이 수술 성공
이보람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7/01/10 13:11
심각한 척추측만증을 갖고 태어난 일란성 쌍둥이 형제가 태후방척주절제술을 받은 후 10년간의 장기 추적 관찰 결과, 척추측만증이 상당수 호전됐다.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척추센터 장동균 교수팀은 후방척주절제술로 일란성 쌍둥이의 선천성 척추측만증 수술 후 10년간 장기 추적 관찰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 이들 쌍둥이 형제는 선천성 척추측만증으로 어릴 적부터 등이 비대칭으로 휘면서 변형이 점점 심해져 수술을 받게 됐다 . 측만각이 50도 , 후만각이 52도 정도로 매우 심한 척추 기형이었던 쌍둥이 동생은 수술 후에 측만각 13도 , 후만각 12도로 호전됐고, 형 역시 측만각 28도, 후만각 86도에서 측만각 6도, 후만각 35도로 호전돼 지금까지 잘 유지되고 있다.
후방척주절제술은 2002년 세계 최초로 상계백병원 척추센터에서 시행한 수술로, 후방에서 한 번에 척추 기형(반척추)을 제거해 변형의 교정력을 증대시키고 , 제거되는 병변 부분을 조절해 척추후만증과 측만증을 동시에 교정한다. 유용한 수술 방식으로 2002년 세계 최초로 상계백병원 척추센터에서 시행하였다 . 또한 , 전후방으로 수술을 하는 것에 비하여 수술시간이 짧고 출혈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수술이다.
장동균 교수는 “선천성 척추측만증의 치료 목표는 진행하는 척추측만증과 후만증을 빨리 발견해 더 심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여 동반되는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라며 “모든 경우에 수술을 하는 것이 아닌 규칙적인 검사와 관찰을 통해 변형의 악화 여부를 면밀히 관찰한 뒤 , 변형의 진행이 빠르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수술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어 장 교수는 “선천성 척추측만증은 비뇨기계, 심장, 그리고 척수 내 다른 부위의 선천성 기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철저한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SCI급 국제 학술지인 Medicine 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