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만성폐쇄성폐질환 원인, 잘걸리는 유전자 따로 있어
이현정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14/10/23 11:59
[만성폐쇄성폐질환 원인은?]
가을에는 면역력이 낮아져 감기에 걸리기 쉽다. 하지만 심한 기침이 감기탓이 아니라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를 흡입해 폐에 비정상적 염증 반응이 일어나 생기는 질환으로, 염증에 의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폐기종이나 만성 기관지염 등이 만성폐쇄성폐질환에 속한다.
가장 주요한 만성폐쇄성폐질환 원인은 흡연이다. 실제로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서 호흡기 증상 발생 및 폐 기능 이상 소견이 더 자주 나타나며 사망률이 높다. 흡연자 중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는 일반적으로 15~20% 정도로 추정되지만, 증상이 없어 진단이 늦어지고 환자의 인지도가 낮아 실제로 이보다 더 많은 환자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대부분 40대 이후에 발병하는데, 초기 증상이 없어 알아차리기 어렵다. 주로 만성적인 기침을 하는데, 간헐적으로 기침을 하다가 점점 지속적으로 변한다. 만성적인 가래가 나타나기도 하며, 더 진행되면 운동을 할 때 호흡곤란이 일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기침·가래·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있으면서 위험 인자에 노출된 병력이 있는 사람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의심하고, 정확한 검사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원인이 다양하지만 가장 좋은 예방 방법은 금연이다. 나이와 상관 없이 흡연을 하는 모든 만성폐쇄성폐질환자들은 금연을 해야 하며, 질환이 없는 사람이라고 해도 금연을 하는 것이 좋다. 금연을 하면 정상적인 폐 기능을 회복하기는 어렵지만 폐 기능이 악화되는 것은 예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