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퉤' 가래 색깔로 알아보는 건강 상태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가래의 점도와 색으로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우리 몸에서 나오는 가래를 통해 건강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평소와 색이 다르거나, 유독 끈적인다면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가래는 기관지 점액에 먼지나 세균 등 불순물과 염증이 섞여 몸 밖으로 배출되는 분비물로, 하루 100mL가량 분비된다. 보통 뱉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삼키는 경우가 많다. 주로 낮보다 저녁, 새벽에 심해지며, 만성폐쇄성폐질환, 폐렴, 폐결핵 등 폐 질환이 있으면 의식해서 뱉어내야 하는 가래 양이 늘어난다. 따라서 갑자기 가래가 많이 나온다면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가래 상태를 확인할 때는 ▲가래의 양 ▲형태 ▲점도 ▲고름·혈액 여부 등을 본다. 정상적인 가래는 물보다 살짝 불투명하면서 맑거나 하얀색을 띤다. 이땐 굳이 뱉어내지 않아도 괜찮다. 정상적인 가래 속 세균은 위장에서 사멸되기 때문이다. 다만, 결핵 환자는 절대 가래를 삼켜선 안 된다. 결핵균이 섞여 장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가래가 끈적거리면서 누렇다면 기관지 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만성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폐포 상부의 가장 작은 세기관지에 생기는 염증)등에 걸리면 염증 물질이 가래에 섞여 분비돼 누런 가래가 나온다. 마찬가지로 점도가 있으면서 녹색에 가까운 가래가 나왔다면 세균에 감염됐을 수 있다. 특히 인플루엔자간균이나 녹농균에 감염됐을 때 가래가 녹색을 띤다. 요즈음 같은 가을, 겨울철에 인플루엔자가 유행하기 때문에 가래 색깔을 유의해서 확인하는 것이 좋다. 가래가 붉은 벽돌색이라면, 폐렴이나 기관지확장증일 수 있다. 간혹 검은색 가래가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 질환보다는 먼지, 대기오염, 담배 연기 등이 원인이다. 기관지 점액에  외부 오염물질이 달라붙어 있다가 배출된 것일 수 있다. 드물게 폐 곰팡이 감염으로 가래가 검게 변하기도 한다.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객혈'도 질환 신호일 수 있다. 일시적이라면 기관지 염증, 후두염 등이 원인일 가능성이 크고, 빈번히 만성적으로 발생한다면 폐렴, 결핵, 폐암 등 중증질환을 의심해야 한다. 이 경우 반드시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객혈로 병원을 갈 때는 혈액을 뱉은 휴지나 뱉은 혈액을 모은 용기를 가져가야 한다. 여건이 안 되면 휴대폰으로라도 사진을 찍어가는 게 원인 질환을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 가래가 많이 껴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라면 물을 수시로 마시자. 특히 편도염, 급성인후염, 후두염 등 목에 있는 질환이 원인일 때 시도하면 효과적이다. 기도에 침투한 세균과 몸속 면역세포가 싸우면서 만들어지는 찌꺼기가 가래가 되는 것인데, 물을 계속 마시면 찌꺼기가 물에 쓸려 내려간다. 코를 따뜻한 수건이나 뜨거운 수증기 등으로 따뜻하게 하는 것도 좋다. 코를 따뜻하게 하면 코점막에서 과도하게 분비되던 점액질이 줄어든다. 또 코점막의 부기가 빠져 코와 목의 공기 순환이 원활해져 가래가 쉽게 밑으로 내려간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