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가래, 녹색이라면 균 감염… 피 섞여 나왔다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가래는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일교차가 큰 요즘 미세먼지까지 더해지면서 '목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이때 가래가 동반되는 경우가 있는데, 가래는 질병을 유추하는 척도가 될 수 있다.

가래는 기관지 점액에 외부 먼지·세균  같은 불순물이 염증과 섞여 몸 밖으로 나오는 분비물이다. 보통 하루 100mL 정도 분비되지만, 무의식적으로 삼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가래의 농도나 색은 폐·기관지 건강에 따라 바뀌기 때문에 갑자기 가래가 많이 나온다면 농도나 색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주로 만성폐쇄성폐질환, 폐렴, 폐결핵 등과 같은 폐 질환에서 가래가 많이 발생한다.

가래는 외관상 크게 ▲물의 형태 ▲점액 형태 ▲고름 형태 ▲피가 섞인 형태 등으로 나뉜다. 물과 비슷하게 살짝 불투명하면서 맑거나 하얀색을 띠는 가래는 정상적이다. 이땐 가래를 굳이 뱉어내지 않아도 문제없다. 정상적인 가래에 있는 세균은 위장에서 사멸되기 때문이다. 가래가 끈적끈적하면서 누렇거나 녹색에 가깝다면 세균에 감염됐다는 신호다. 녹색 가래가 나왔다면 인플루엔자 간균이나 녹농균 감염이 원인일 수 있다. 피가 섞인 가래는 다양한 질병의 증상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후두염, 결핵, 폐렴 등이 있다.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객혈증상이 있다면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병원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가래가 붉은빛의 벽돌색을 띤다면, 폐렴·폐암의 가능성이 있어 즉시 병원을 찾아 검사받는 것이 안전하다. 검은색에 가까운 가래가 나올 때도 있는데, 이는 대부분 먼지나 대기오염, 담배 연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폐 곰팡이 감염일 수도 있어 검사를 받아보도록 한다.

건강한 사람이라면 가래를 굳이 뱉어낼 필요가 없다. 하지만 결핵 환자는 가래에 결핵균이 섞여 있어 장에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삼키면 안 된다.

가래는 낮보다 저녁이나 새벽에 심해지는데, 기침이 심하게 동반되면 엎드리거나 옆으로 눕는 것이 도움 되며, 가슴이나 등을 살짝 두드려주면 가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