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렌즈 세척 아무리 잘 해도 20% 이물질 남아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 황유진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사진-조선일보DB

콘택트렌즈 사용 인구가 500만 명을 넘어섰다. 대한안과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10명 중 1명은 콘택트렌즈를 낀다. 특히 10~30대의 눈이 나쁜 여성 대다수는 안경 대신 렌즈를 선택한다. 많은 사람이 미용과 편리함을 위해 렌즈를 선택하고 있지만 렌즈도 잘 알고 끼지 않으면 눈에 치명적일 수도 있다.

렌즈가 독이 되는 대표적인 예가 더러운 렌즈 착용이다. 많은 사람이 렌즈를 매일 세척만 하면 얼마든 오랜 기간 쓸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잘못된 생각이다. 문질러 씻든, 단백질 제거제를 사용하든, 초음파로 세척하든 약 20%의 이물질은 그대로 남는다. 특히 렌즈 가장자리에 단백질 성분이 많이 침착된다.

이렇게 남는 단백질은 산소투과율을 떨어뜨려 각막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렌즈의 수분함유량도 줄인다. 렌즈에 이물질이 많이 끼면 부드러웠던 재질이 점점 딱딱해진다. 말랑말랑하던 렌즈가 굳으면서 각막 표면을 자극할 수 있다. 딱딱해진 렌즈는 눈물층의 눈물 생성 기능도 저하시켜 각막을 건조하게 하고 미세한 상처를 낼 수 있다.

또한 단백질에 붙어 있는 각종 세균이 각막의 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염증 물질이 생기고 각막세포는 파괴된다. 눈이 시리고 이물감·시력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심하면 각막궤양과 거대유두결막염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각막내피세포는 한번 파괴되면 다시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더러운 렌즈를 계속 끼면 세포의 절대적인 숫자가 줄어 라식이나 백내장 수술 등을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렌즈는 홀더에 넣기 전에 반드시 20초 이상 부드럽게 문질러 닦아야 하고 홀더에 정확히 삽입하여 보관해야 한다. 또한 렌즈를 착용한 후에 화장을 하는 것이 좋으며 착용시 식염수로 헹군 후 습윤제를 1방울 떨어뜨려 착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눈 안쪽까지 아이라인 등의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미스트나 헤어스프레이 등이 렌즈를 낀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