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3-03-10
무릎관절은 뼈와 인대, 연골, 연골판 등 다양한 구조물로 구성돼 있다. 그중 내측 반월상 연골판은 연골을 보호하고,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압력을 줄이는 등 무릎 퇴행성관절염을 예방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내측 반월상 연골판은 가장 손상되기 쉬운 부위이기도 하다.
특히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변화를 겪는 중년 여성의 경우 연골이나 연골판이 약해지면서 별다른 외상없이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내측 반월상 연골판의 후각부가 파열되는 일이 많다. ‘뚝’하는 파열음과 함께 갑작스러운 종아리 통증이 발생하며 일상에 불편함을 준다. 좌식 생활습관으로 오래 쪼그려 앉거나, 무릎을 구부린 채 집안일을 하는 중년 여성에게 흔히 발생하며, 중년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부 파열로 인한 통증은 3주 정도 지속되다 점차 좋아진다. 때문에 자연적으로 치유됐다고 생각해 질환을 방치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이를 방치하면 다리가 오자(O)로 변형되며 퇴행성관절염을 유발하게 된다. 만약 이 상태에서 초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연골 손상이 가속화되고, 심한 경우 인공관절 수술을 피할 수 없게 된다.
퇴행성관절염 가속화 및 인공관절 수술을 피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내측 반월상 후각부 연골판 파열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형태의 연골판 파열의 경우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요하지 않지만, 내측 연골판 후각부파열의 경우엔 연골판의 기능을 100% 상실하기 때문에 연령에 관계없이 가급적 1년 안에 수술적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적 치료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이식술, 절제술, 봉합술 등이 있다.
관절내시경을 통한 수술은 4mm 정도의 가느다란 내시경을 손상 부위에 넣어 육안으로 환부를 확인하며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게 큰 장점이다. 관절 내부를 초소형 카메라를 통해 직접 들여다보기 때문에 정확한 관찰이 가능하며, 기존 절개술에 비해 절개 범위가 작아 수술 후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내측 반월상 연골판 후각부 파열은 성별과 연령대에 무관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갱년기 중년 여성은 퇴행성 변화로 손상에 취약해진다. 퇴행성관절염 등의 2차 손상을 피하기 위해선 풍부한 관절내시경 경험이 있는 의료진을 찾아 조기 진단과 치료를 받을 것을 권한다.
국민 관절 건강 주치의 고용곤 원장이 들려주는 관절 건강 이야기.
무릎 퇴행성관절염, 인공관절, SVF 치료까지.
관절 건강과 치료에 이르는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