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5-02-28

휜다리의 적응증
우리가 흔히 ‘오다리’라고 말하는 형태의 다리는 ‘휜다리’라고도 불린다. 길을 걷다 보면 흔히 볼수 있는 휜다리는 워낙 많은 사람이 가지고 있어 질병이라고 느끼지 못하지만 의학적으로는 질환에 해당된다. 다리의 정상 축을 벗어난 현상이기 때문이다.

그럼 휜다리는 고쳐야 하는 질환일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그렇다. 하지만 얼마나 휘었을 때 위험하고 고쳐야 할까? 교과서에서는 양 무릎의 뼈 사이가 7cm 이상 벌어진 경우 휜다리수술 적응증으로 분류된다. 뼈가 휘어진 휜다리는 수술밖에는 고칠 수 없다. 교정이나 물리치료 또는 침으로 교정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것은 인체 구조상 불가능한 일이다.

휜다리 발생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처음부터 휜다리였던 환자와 나이가 듦에 따라 점점 다리가 더 휘어진 환자군이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처음부터 휜 사람은 극히 드물다. 생활환경에 따라 옳지 못한 자세에 대한 습관등이 다리를 휘게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아빠다리’를 오래, 자주 하는 사람들이나 무릎 꿇고 앉는 습관, 다리를 꼬고 앉는 습관 등은 휜다리에 치명적이다. 



휜다리를 고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인간은 직립보행을 한다. 지구는 둥글고 지표면쪽으로 중력이 작용한다. 지표면의 기압은 1기압(atm)으로 1제곱미터당 10만1325파스칼(Pa)의 압력을 받는다. 인체 무릎 위의 모든 체중은 무릎연골이 감당하게 되는데 허벅지와 종아리의 정렬이 0도가 아닌 경우 체중을 계속 지탱하다보면 시나브로하게 연골 한쪽이 부하를 더 많이 감당해야 한다. 각이 틀어지면 틀어질수록 그 압력은 더 커진다. 어차피 인간이 살아가면서 써야 하는 무릎이지만 5대5의 압력을 받는것과 6대4의 압력을 받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직립보행을 하지 않는 동물은 네발로 2.5 대 2.5 대 2.5 대 2.5 의 하중을 받지만, 인간은 5대5, 휜다리는 6대4 또는 그 이상의 압력을 매일 견뎌야 하는 것이다. 한쪽 연골이 고장나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미용목적의 휜다리수술
필자가 처음 이 수술을 시작했을때는 관절염 환자를 주로 수술했다. 이미 어느 정도 연골 손상을 입은 환자들이었다. 이미 연골이 닳아 허벅지 뼈와 종아리뼈가 마찰을 일으키며 관절염으로 진행되는 것인데, 왜 문제가 생기는 것을 알면서 방치하는 것일까에 대한 고민을 했고, 그 해답을 미용적 휜다리수술에서 찾았다. 얼마나 많은 사람이 찾아올지는 예상할 수 없었다. 온라인 포털에 휜다리수술 카페를 만들었고 관리를 시작했는데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휜다리 때문에, 정확히 말해서 휜다리 모양에 대한 컴플렉스로 힘들어 한다는 걸 알게 됐다. 



지금까지 휜다리수술을 9400case 가량 집도했다. 절반은 관절염, 나머지 절반은 미용적 휜다리수술 환자였다. 미용적 휜다리수술을 받은 사람들의 사연들은 내가 운영하는 휜다리 카페에 공유되고 있다. 일자다리인 사람들은 절대 알 수 없는 휜다리인 사람들의 고통과 스트레스는 생각보다 심각하다. 

사람마다 다른 다리모양
휜다리수술에 대한 환자들의 좋은 후기들은 내가 이 수술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줬다. 케이스를 하나하나 늘려갈 때마다 느꼈던 것은 휜다리가 단순히 휘어있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과, 생각보다 분류해야 할 환자군이 넓었다는 것이다. 단순히 뼈를 곧게 편다고 해서 다리모양이 예뻐지지 않는다는 것도 알았다. 다리 모양은 크게 4가지 정도로 분류한다. 이 부분은 노하우이기 때문에 오픈할 수는 없지만, 세밀하게 분류하면 그 이상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24년이 넘도록 수술을 해왔지만 새로운 형태의 휜다리는 지금도 나타나고 있을 정도로 개인별로 상이하다.


(집도중인 뉴본정형외과 임창무 대표원장)

휜다리수술의 효과
휜다리로 인한 관절염 초기의 환자들의 통증완화 및 관절염 예방효과는 의학적으로 검증된 것은 분명하다. 많은 환자가 휜다리수술을 통해 허리나 발목 통증까지 개선됐다는 이야기도 들려주고 있다. 휜다리로 인해 틀어진 신체가 바로잡히면서 통증이 완화되는 것이다. 하지만 비급여인 미용적 휜다리수술은 각 병원마다 집도실력에 큰 차이가 있고, 수술비가 천차만별이므로 세심히 알아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정형외과의 미용적수술, 사지연장술, 휜다리수술

[뉴본정형외과]
임창무 원장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및 대학원, 의학박사 미국 WEST VERGINIA 주립대 의과대학 연수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 교수 한국미용성형의학원 조교수(前)
흥익병원 관절센터 소장 및 진료부장(前)
뉴본(NEWBORN)정형외과 대표원장(現)
2023년 사지연장술 4,700례 달성
휜다리(오다리)수술 9,000례 달성

• 사지연장술의 올바른 이해, 그리고 환자를 생각하는 올바른 수술
• 관절염 통증에서 해방되기 위한 흰다리수술(근위경골절골술)
• 미용적 흰다리수술에 대한 8,000case 집약된 노하우
• 평생의 스트레스 단지증에 대한 수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