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코로나 아닌데 ‘마른기침’ 계속… ‘이것’ 때문일 수도
이해림 기자
입력 2023/02/16 20:00
코로나가 아닌데도 마른기침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다. 엑스레이 상으로 폐렴, 결핵 등 이상이 없고 흡연을 하지 않으며, 최근 감기나 기관지염에 걸린 적도 없는데 8주 이상 기침이 계속되는 걸 ‘만성 기침’이라 한다. 만성 기침은 왜 생기는 걸까?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며 기도·기관지에 있는 기침 수용체를 자극하면 마른기침을 할 수 있다. 축농증이나 비염이 있는 사람에게 특히 잘 생긴다. 식염수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비강을 세척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평소 호흡기가 급격한 온도 변화에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물을 많이 머셔서 목을 깨끗이 씻어내는 게 좋다. 치료엔 보통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된다.
기침형 천식을 앓고 있을 때에도 기침을 자주 할 수 있다. 기침형 천식은 호흡곤란이나 쌕쌕거리며 숨쉬는 증상 없이 기침만 한다. 주로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이다.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자주 나타나며, 밤중에 기침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기관지 유발 검사를 통해 기침형 천식을 진단받을 수 있으며, 기관지확장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으로 치료한다.
위식도역류질환이 있을 때도 마른기침을 할 수 있다. 위산이 식도와 기관지를 자극하면, 속이 쓰리고 화끈거리거나 반복적으로 기침할 수 있어서다. 인후두역류질환도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위내시경을 해도 식도염이 발견되지 않고 속 쓰림 등의 증상도 나타나지 않으나, 아침에 기침이 심해지고 침을 삼킬 때마다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 위식도역류질환과 인후두역류질환 모두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통해 치료한다.
마른기침이 심각한 질환의 전조증상일 때도 간혹 있다. 심부전증 환자는 마른기침을 하고 숨을 쉴 때마다 쌕쌕거리는 소리가 날 수 있다. 심부전증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마른기침은 수면 도중에 갑자기 시작돼, 자세를 바꾸면 잦아드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증상이 이어진다면 흉부 엑스레이, 심장 초음파 검사 등 정밀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다.
콧물이 목 뒤로 넘어가며 기도·기관지에 있는 기침 수용체를 자극하면 마른기침을 할 수 있다. 축농증이나 비염이 있는 사람에게 특히 잘 생긴다. 식염수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비강을 세척하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평소 호흡기가 급격한 온도 변화에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물을 많이 머셔서 목을 깨끗이 씻어내는 게 좋다. 치료엔 보통 항히스타민제가 사용된다.
기침형 천식을 앓고 있을 때에도 기침을 자주 할 수 있다. 기침형 천식은 호흡곤란이나 쌕쌕거리며 숨쉬는 증상 없이 기침만 한다. 주로 가래가 없는 마른기침이다. 아토피피부염 환자에게 자주 나타나며, 밤중에 기침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기관지 유발 검사를 통해 기침형 천식을 진단받을 수 있으며, 기관지확장제,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으로 치료한다.
위식도역류질환이 있을 때도 마른기침을 할 수 있다. 위산이 식도와 기관지를 자극하면, 속이 쓰리고 화끈거리거나 반복적으로 기침할 수 있어서다. 인후두역류질환도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경우 위내시경을 해도 식도염이 발견되지 않고 속 쓰림 등의 증상도 나타나지 않으나, 아침에 기침이 심해지고 침을 삼킬 때마다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 위식도역류질환과 인후두역류질환 모두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통해 치료한다.
마른기침이 심각한 질환의 전조증상일 때도 간혹 있다. 심부전증 환자는 마른기침을 하고 숨을 쉴 때마다 쌕쌕거리는 소리가 날 수 있다. 심부전증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마른기침은 수면 도중에 갑자기 시작돼, 자세를 바꾸면 잦아드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증상이 이어진다면 흉부 엑스레이, 심장 초음파 검사 등 정밀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