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모더나 "2025년까지 15대 병원균 mRNA 백신 임상시험 추진"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모더나가 글로벌 공공 보건 전략을 발표했다. /연합뉴스 DB
코로나19 백신으로 주목받은 모더나가 8일(현지 시각) 전염병 예방 mRNA 백신 발전을 목표로 한 글로벌 공공 보건 전략을 발표했다. 모더나는 주요 병원균의 백신 개발 가속화, mRNA 협력 체계 구축, 코백스 내 92개 중저소득 국가에 코로나19 특허권 면제 등의 계획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구체적인 계획을 보면, 모더나는 우선순위 병원균 mRNA 백신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2025년까지 신종 혹은 소외 전염병 대상 15개 백신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임상 연구 단계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15개 백신 프로그램에는 HIV, 결핵, 말라리아, 소외 열대성 질병 및 WHO·CEPI 선정 우선 개발 병원균 등이 포함돼 있다.
mRNA 백신 자체의 발전을 위한 계획도 포함돼 있다. 모더나는 mRNA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모더나의 전임상 제조 역량과 연구 개발 전문성을 전 세계에 공개하는 ‘mRNA 액세스(Access)’를 가동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협력 기관이 모더나의 mRNA 플랫폼을 활용할 기회를 제공하고, 백신 임상 단계 가속할 수 있게 지원한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극복을 위해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코백스 선 구매공약메커니즘(COVAX AMC) 내 92개 중저소득 국가에 코로나19 백신 특허권을 면제한다. 단, 특허권 면제는 백신이 92개 국가에서만 사용된다는 전제하에 해당국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적용된다.
스테판 방셀 모더나 CEO는 “모더나는 중저소득 국가에서 코로나19 특허권을 행사하지 않음은 물론, 코백스에 대부분의 공급 물량을 도즈 당 최저 가격에 제공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전염병을 퇴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非) AMC 92개국에서 백신 공급은 더는 백신 접근의 장벽이 아니다. 모더나는 해당 국가에서 모더나 특허 기술을 사용하는 업체들이 모더나의 지적 재산을 존중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모더나는 제조업체와 상업적으로 합리적인 조건에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맺을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