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가만히 있어도 '끈적'… 실내 습기 제거하려면?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비에 젖은 신발은 꼭 물기를 닦고 말린 후 신발장에 넣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가만히 있어도 끈적해지며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장마철이다. 장마철에는 습도가 80%를 넘으면서 세균과 곰팡이도 쉽게 증식하면서 건강을 위협하기 쉽다. 장마철 집안을 쾌적하게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간단하면서도 놓치기 쉬운 실내 습기 관리법을 알아봤다.

집안에서 세균과 곰팡이가 가장 자라기 쉬운 곳은 어딜까. 항상 물기가 있는 주방과 욕실만 생각하기 쉽지만 의외로 신발장에도 많다. 외부의 오염물질이 묻은 신발이 환기가 어려운 신발장에 보관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신발에 자란 세균이나 곰팡이가 피부에 닿으면 접촉성 피부염이나 무좀 등 피부질환이 생길 수 있다. 곰팡이 포자가 날려 비염이나 천식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신발장에는 꼭 습기 제거제를 두고, 볕이 좋은 날 신발을 햇볕에 말려 살균해주면 좋다. 만약 비에 신발이 젖었다면 반드시 물기를 닦고 말린 후에 신발장에 넣는다. 당장 습기 제거제가 없다면 숯, 커피 찌꺼기, 녹차티백을 말려 신발장에 넣어 두면 천연 습기 제거제 역할을 한다. 신발장 바닥에 신문지를 깔아 두는 것도 습기를 제거하고 곰팡이 번식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

물론 주방과 욕실도 잘 관리해야 한다. 주방에서 수세미·도마·고무장갑 등의 용품을 사용한 후에도 햇볕에 잘 말려야 세균 번식을 막을 수 있다. 욕실 배수구나 변기는 물때가 잘 끼어 곰팡이·세균이 번식하기 쉬우므로 1주일에 한 번씩 살균 효과가 있는 식초나 베이킹소다를 이용해 청소한다. 타일 이음새에 곰팡이가 꼈다면 베이킹소다를 섞은 물이나 락스를 뿌리고 솔로 닦아 제거한다.

실내 습기를 제거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선풍기와 에어컨을 이용하는 것이다. 에어컨이나 제습기가 없다면 창문을 열고 실내 방향으로 선풍기를 두어 공기 순환이 원활해져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실내에서 빨래를 말려야 한다면 반대로 선풍기를 실외 방향으로 둔다. 축축해진 공기가 밖으로 나가며 제습 효과를 낸다. 대나무, 관음죽, 아자류, 폴리시아스 등 습도 조절을 돕는 식물을 놓는 것도 방법이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