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아이 IQ 높이려면 '이곳' 주변에 살아야

한희준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집 주변 녹지 공간이 많을수록 아이의 아이큐 점수가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3월 환경부지정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 연구팀이 국제 저명 과학전문지 '종합환경과학(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게재한 논문 내용이다. 녹지공간이 많이 분포된 곳에 거주하는 아동일수록 아이큐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서울시에 거주하고 있는 6세 아동 189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주소와 6세의 주소를 기반으로 집주변 녹지분포를 조사했다.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토지피복지도(항공사진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표면의 상태를 표현한 지도)를 바탕으로 녹지면적을 산출하여 녹지 증가 당 아동의 아이큐 점수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임신 중 녹지 노출보다는 출생 후 유아기인 6세 시점에서의 녹지 노출과 아이큐 점수가 연관성이 더 높았으며, 녹지의 종류를 자연 녹지(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자연 초지 등)와 인공 녹지(공원, 가로수, 인공 초지 등)로 구분하였을 때, 자연 녹지보다는 인공 녹지에서의 아이큐 점수와의 연관성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연구진은 “집 주변 녹지의 노출은 대기 오염 감소 및 도시 소음 감소로 인해 아동의 스트레스 저하와 사회적 접촉기회의 증가를 가져옴으로써 인지능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윤철 환경보건센터장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집 주변 녹지공간이 도시지역에 사는 아동의 인지기능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함과 동시에, 도시 공간을 설계하는 도시계획가 및 정책가들에게 어린이의 정신건강을 위한 도시계획과 공공보건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