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핀란드 의료진은 '차라리' 비디오 게임을 권했다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03/23 18:00
미취학 아동이 전자기기로 영상을 보는 것이 정서와 행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차라리 비디오 게임을 권했다.
핀란드 헬싱키 대학 중앙 병원 줄리아 파보넨(Juulia Paavonen) 박사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약 700명의 핀란드 어린이들을 추적 조사하는 코호트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은 핀란드 남부의 피르칸마아 병원 산부인과에서 연구 참가에 동의한 부모의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아동의 전자기기 영상 사용량과 정서발달 정도는 3, 8, 18, 24, 60개월에 걸쳐 측정됐다.
그 결과, 18개월 아이 중 영상 시청 시간이 많았던 경우 5세가 됐을 때 정서적, 행동적 불안한 증세를 보일 위험이 커졌다. 정서적 증상으로는 불안, 우울, 기분 저하 등을 꼽을 수 있고, 행동적 증상으로는 다툼, 분노 관리 능력 저하 등이 있다. 집중력 저하나 과잉행동과 같은 주의력에도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디오 게임을 하는 것보다 영상 시청 시간이 많았던 아동에서 정서·행동·주의력 결핍 등의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더 컸다.
나이가 많아질수록 영상에 노출되는 시간이 급증했다. 생후 18개월 아기의 경우 23%만이 1시간 이상 영상에 노출됐지만, 만 5세 아이의 경우 95%가 매일 1시간 이상 영상을 시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권고하는 미취학 아동 영상 시청 시간은 1시간이다. 영상에 노출된 정도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18개월 아이는 하루 평균 32분, 만 5세는 114분이었다.
세대가 지날수록 영상에 노출되는 나이는 어려졌다. 2013년에서 2017년까지 추적한 아동의 경우 영상 사용량이 2011년 아동보다 3배나 증가했다. 파보넨 박사는 “지금은 만 4세만 돼도 대부분 매일 영상을 시청한다”며 “영상에 노출되는 시간이 늘수록 정서적 증상, 행동 증상은 물론 수면장애 등의 문제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나이의 영상 시청 시간을 자연스럽게 줄이려면 먼저 부모가 함께 콘텐츠를 선별해 자녀와 시청하는 것이 좋다. 또 영상을 시청할 때도 생각할 수 있는 질문을 던져 아이들이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된다. 식사 시간에는 영상 시청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거실 등과 같이 함께 이용하는 장소에서만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BMJ Open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