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시력 교정 위한 '렌즈삽입술' 누구한테 적합할까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각막 두께가 과도하게 얇거나, 동공의 크기가 과도하게 크면 라식이나 라섹수술이 어려울 수 있다. 이때는 렌즈삽입술이 대안책이 될 수 있다./사진=아이리움안과

최근 다양한 시력 교정술이 도입되면서 어떤 수술법을 택할지 고민하는 사람이 많다. 대표적인 시력교정술은 라식과 라섹인데 모두 적합하지 못한 사람들이 있다. 각막 두께, 눈 돗수에 따른 각막 절삭량, 각막 내구성 등 눈 조건에 따라 수술이 제한될 수 있는 탓이다. 이때는 '렌즈삽입술'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렌즈삽입술은 말 그대로 시력 교정용 특수 렌즈를 눈 안에 삽입하는 것인데, 부작용을 줄인 안내 렌즈가 나오면서 더욱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눈 안에 시력교정용 특수 렌즈를 삽입하는 안내 렌즈삽입술(이하 렌즈삽입술)은 각막 손상이 없고 시력 회복이 빠르며, 수술 후 시력 퇴행, 각막확장증과 같은 부작용 우려가 적다. 각막이 얇거나 초고도근시라 레이저 시력교정술을 포기했던 사람들이 렌즈삽입술에 큰 관심을 보이는 이유다.

안전성과 우수한 기능을 갖춘 다양한 안내렌즈들 덕분에 렌즈삽입술 만족도도 높아지고 있다. 홍채 뒤에 삽입하는 ICL 계열 렌즈 중, 최신 기술이 집약된 ‘이보플러스 아쿠아ICL(EVO+ 아쿠아ICL)’ 렌즈가 대표적이다. 이보플러스 아쿠아 렌즈는 생체 친화적인 설계구조와 재질로 부작용 우려를 낮췄을 뿐만 아니라 광학부를 확대해 동공이 큰 사람들의 야간 빛 번짐 문제를 개선했다. 덕분에 최근 고도수 교정이 필요하거나 회복 기간 문제로 수술을 미뤄온 직장인에게 적합하다.

좋은 렌즈 선택만큼 중요한 것이 경력 많은 의료진에게 수술받는 것이다. 아이리움안과 최진영 원장은 "렌즈삽입술은 별도의 장비 없이 수술에 필요한 모든 과정이 집도의의 손끝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의료진의 높은 전문성과 풍부한 임상경험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수술 전 정교한 검사를 통해 환자별 맞춤형 렌즈 사이즈 등을 판별하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아이리움안과 최진영, 강성용 원장은 2011년 '한국인의 눈에 맞는 ICL 렌즈 사이즈 계산법'을 발표하고, 국제학회에서 안내렌즈 사이즈가 눈 속 공간에 맞지 않으면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는 걸 소개했다. 최진영 원장은 "환자 맞춤형 렌즈 사이즈 선택을 위해서는 특수 초음파 CT, UBM 검사 등이 쓰인다"며 "특히 UBM 검사는 수술 후 안내렌즈가 눈 속에 잘 자리 잡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도 유용하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