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젊은 나이에 어깨가 욱신…어깨 속 돌멩이 때문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35세 직장인 박모씨는 얼마 전 잠을 자다가 극심한 어깨 통증으로 응급실을 찾았다. 마치 어깨 속에 종기가 난 것 같은 격렬한 통증 호소했다. 박씨의 병명은 급성 석회화 건염. 주사기를 사용해 어깨속의 뻑뻑한 석회를 제거해내자 통증은 금세 가라앉았고, 설마 어깨가 아파서 응급실까지 가게 될 줄은 몰랐다며 박씨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칼슘 침착돼, 어깨 속 결석 되는 것

석회화 건염은 건에 돌맹이 같은 이물질들이 뭉쳐 생겨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어깨에 주로 생긴다. 회전근개파열, 오십견과 함께 어깨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3대 질환 중 하나다.

안양튼튼병원 관절센터 김덕수 원장은 "석회화 건염은 어깨에 연결된 인대속에 칼슘이 침착하여 결정이 생기는 질환이다. 환자에 따라 증상이 없이 석회가 생겼다가 저절로 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응급실을 찾는 경우도 많다. 만성 석회화 건염같은 경우는 몇 개월씩 통증이나 불편이 계속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급성 석회화건염은 25~45세에 젊은 연령층에서 나타난다. 석회가 형성되거나, 석회가 분해될 때 통증이 가장 심해진다. 반면 만성 석회화건염은 50~60대에 주로 발생하고 팔을 움직였을 때 심한 통증을 나타내고 그 외에는 별다른 통증이 없는 특징이 있다. 팔을 옆으로 들거나 들어서 돌리는 것이 어렵고, 어깨의 견봉 아래쪽을 누르거나 팔을 들 때 통증이 나타난다면 석회화 건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때로 석회화 건염이 심해지면 힘줄이 파열되어 팔을 들어올릴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통증 있을 때 치료해

석회화 된 이물질의 크기는 3mm부터 3cm까지 다양한데, 다행히 일반 엑스레이 검사만으로도 이물질을 발견할 수 있어 진단이 쉬운 편이다. 석회가 발견되었다고 해서 모두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이물질로 인해 통증이 유발되었을 때 치료를 하게 된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국소 마취제를 주사해 통증을 가라앉히고 보존적 치료를 통해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런 보존적 치료로 효과가 미미하다면 체외충격파치료를 실시해 볼 수 있다. 체외충격파치료기는 요로결석, 신장 결석을 파쇄하는데 사용되었던 기기와 원리가 비슷해 어깨 인대에 생긴 석회화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더불어 낡아 있던 조직을 자극하여 새로운 조직 형성을 촉진한다. 염증부위에 고에너지파를 쏘는데 시술 시간은 15분에서 20분 정도로, 시술 후 바로 움직여도 전혀 불편이 없다.

석회화 건염의 상태가 심하고 석회의 크기가 크거나, 염증으로 건이 끊어진 경우에는 관절 내시경 수술이 필요하다. 관절 내시경 수술은 어깨 관절 부위에 작은 구멍을 내고 그 속으로 5mm의 가는 내시경을 삽입하여 특수 렌즈를 통해 환부를 직접 보면서 석회를 제거하고 파열된 힘줄을 봉합해 준다.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석회화 건염을 예방하는 방법도 있다. 무엇보다 어깨 관절의 과도한 사용을 주의해야 한다. 특히 머리 위로 어깨를 들어 올리는 동작은 자제하고 가능한 어깨 높이 아래서 팔을 움직이도록 하며 높고 푹신한 베개보단 낮고 딱딱한 베개를 사용해 목과 어깨의 곡선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어깨 근육에 부담을 덜할 수 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