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5-25

최근 중장년층에서는 모든 거리를 선명하고 깨끗하게 보고 싶어 다초점 백내장 수술을 선호하고 있다. 최근에도 다초점 백내장 수술을 희망하는 환자가 진료실 문을 두드렸다. 당뇨 진단을 받은 지 5년 된 김모씨(57)는 최근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눈이 무겁고 침침하다며 답답함을 호소했다. 컴퓨터 작업을 많이 한다는 환자는 가까운 거리와 먼 거리 모두 안경 없이 잘 보고 싶다며 다초점 수술이 가능하냐고 물었다. 당뇨 환자도 다초점 백내장 수술이 가능할까?

먼저, 당뇨가 생기면 눈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당뇨 진단 후 환자들은 대개 5~10년 이내에 당뇨망막병증을 앓을 가능성이 높다. 당뇨망막증은 눈 속 혈액순환에 이상이 생겨 망막 내부의 혈관이 망가지는 등 당뇨로 인해 망막에 변화가 생긴 것을 말한다. 당뇨망막증이 심하면 망막 내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황반이 붓기도 한다. 이를 황반부종이라 하는데, 황반부종은 시력저하와 눈부심을 일으키고, 방치할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당뇨 환자는 평소 혈당 관리만큼 눈 관리도 철저히 해야 한다.

문제는 당뇨 환자가 백내장 수술을 해야 할 때이다. 평소 혈당 관리를 잘 해 왔고, 망막 내 별다른 소견이 없다면 충분히 자신이 원하는 인공수정체로 백내장을 치료할 수 있다. 다만 일반 환자와는 다르게 철저한 검사를 진행해야 한다. 수술 전 망막 검사를 통해 당뇨망막증의 진행 정도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망막 내부에 출혈이나 붓기로 인한 시력저하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 경우 수술 전 치료를 우선으로 한다.

수술 전 혈당이 안정적이라도 수술 후 관리가 잘 되지 않으면 수술 부위에 세균이 감염되는 등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후 혈당 조절을 비롯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백내장 수술 후에는 염증을 막기 위한 스테로이드제가 들어간 약을 일정기간 투여한다. 만약 전신 상태가 좋지 않으면 수술 후 눈 상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수술 전 상담 단계에서 자신의 병력을 집도의에게 알려야 한다. 수술 후 스테로이드제 투여로 인해 기존에 앓고 있던 간의 염증이 심해지면 다른 합병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당뇨 환자의 백내장 유병률은 일반 환자보다 2배 이상 더 높다. 당뇨를 진단받았다면 백내장 수술 전 부작용 가능성, 수술 후 주의사항, 수술의 한계점 등에 대한 상세한 논의 후 수술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인식의 <당신의 눈, 안(眼)녕하십니까?>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
이인식 대표원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안과전문의
연세대학교 의학박사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안과 외래 교수
미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정회원
실로암 안과병원 과장 역임
카이스트파팔라도 메디컬센터 겸직교수

노안, 백내장, 시력교정술부터 전신상태까지! 의학과 인문학, 생생한 병원 이야기와 트렌드를 결합시킨 재미있는 눈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