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5-07-09

 
<출처 = 에스앤유서울병원>

어깨 통증으로 여러 병원을 다녀본 환자들이 흔히 하는 말이 있다.

"A병원에서는 회전근개가 조금 찢어져 있다며 주사치료를 받으라고 했는데, B병원에서는 수술이 필요하다고 하네요. 누구 말이 맞는 건가요?"

같은 어깨를 두고도 병원마다 진단과 치료 방향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회전근개는 어깨를 움직이는 네 개의 근육이 뼈에 붙는 힘줄 부분을 말한다. 이 힘줄들이 찢어지는 회전근개 파열은 마치 옷감이 해지는 것과 같아서, 실 몇 가닥이 끊어진 정도부터 옷이 완전히 찢어진 상태까지 그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문제는 이런 파열의 정도를 정확히 구분하고 진단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다는 점이다.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의 극히 일부분만 손상된 미세파열부터 힘줄이 완전히 끊어진 전층파열까지 그 범위가 매우 넓다. 그런데 병원마다, 의사마다 이를 환자에게 설명하는 기준이 다른 것이 현실이다. 영상 검사에서 힘줄의 음영이 약간 불균일하거나 경계가 조금 변한 것만으로도 '회전근개 파열'이라고 진단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그런 변화도 의미가 있지만, 실제로는 파열보다는 힘줄의 염증이나 퇴행성 변화에 가까운 경우가 많다.

이처럼 경미한 손상에도 '회전근개 파열'의 진단 아래 재생치료 목적으로 다양한 주사치료를 권유받는 경우가 많다. 환자들은 '재생치료'라는 말만 듣고 힘줄이 새것처럼 튼튼해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실제로는 여러 연구 결과를 검토해 볼 때 파열 자체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파열로 인한 증상, 즉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는 치료에 가깝다. 물론 이런 경도의 힘줄 손상은 증상을 일으키거나 더 큰 파열로 진행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증상을 조절하는 치료로 충분할 수 있다. 다만 조직재생에 대한 너무 큰 기대감이나 환상을 가져 불필요한 치료를 받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당장 수술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이 없는 경우 견봉성형술(어깨뼈 일부를 깎아 힘줄과의 충돌을 줄이는 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정말 봉합 수술이 필요한 회전근개 파열은 어떤 것일까?

힘줄은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표면 몇 겹만 손상된 부분파열과 모든 층이 뚫린 전층파열로 구분된다. 부분파열이라도 전체 힘줄 두께의 50% 이상을 침범하는 고도 부분파열부터는 수술적 치료를 적극 고려해야 한다. 이는 마치 로프의 절반 이상이 끊어진 상태로, 향후에 진행하여 완전히 끊어질 위험이 높고 보존적 치료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고도 부분파열을 넘어선 힘줄 파열도 상황에 따라 수술 없이 보존적으로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다만 회전근개 파열에 의한 통증이나 근력의 저하가 심하지 않으며, 활동도가 높지 않고 환자의 여생을 고려해서 병의 진행 속도를 감수할 만한 70대 중반을 넘어선 환자들이 주로 대상이 된다.

몇몇 병원에서는 해외 문헌의 일부만 인용해, 전층 파열 중에서도 큰 파열만 수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재생 주사 치료만을 고집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주장의 해당 문헌은 재생치료와는 무관한 물리치료에 기반한 연구를 근거로 하며, 오히려 수술적 치료 없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기능이 떨어진다는 내용이 함께 언급되어 있다. 또한 장기간의 보존적인 치료 실패 이후에 진행하여 커져버린 파열을 수술한다면 그 결과가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그 위험성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어깨 통증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단순히 '회전근개 파열'이라는 진단명에만 매달리지 말고 그 파열의 정도와 치료 방향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길 바란다. 미세한 손상인지, 수술이 필요한 파열인지에 따라 치료 방법과 예후가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어깨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검사를 통해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는다면 건강한 어깨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김대하 원장의 어깨 치료 Note!

[SNU서울병원]
김대하 원장

학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경력
스포츠의학 인증 전문의
서울대학교병원 수련의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전공의
외국인 노동자전용의원 정형외과장(공중보건의)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임상 자문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임상자문의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정형외과 임상자문의
분당서울대병원 관절클리닉 견주관절 전임의
CM병원 정형외과 과장
CM병원 진천선수촌 메디컬센터 파견

학회
대한정형외과 정회원
대한견주관절학회 정회원
대한스포츠의학회 정회원

교육수련
AO principle course 이수
Functional movement screen level 1,2 이수
Selective functional movement assesmenst Level 1,2 이수
Titleist TPI level 1, 이수
Active release technique Spine, Lower extremity lv 1 이수

주요논문
Focal Bone Marrow Lesions: A Complication of Ultrasound Diathermy
Measurement of Coracohumeral Distance in 3 Shoulder Positions Using Dynamic Ultrasonography: Correlation With Subscapularis Tear.
Rate of correction after asymmetrical physeal suppression in valgus deformity: analysis using a linear mixed model application.
Revisit of Broden's view for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
The use of a ti-ni shape memory alloy ring bone fixator during the retrograde nailing of supracondylar femoral fractures.

어깨통증은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하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다양해 환자분께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체계적인 치료 접근이 필수적 입니다. 회전근개파열 치료 경험이 풍부한 SNU서울병원 김대하 원장이 건강한 어깨로 가는 최적의 치료법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