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안과가 들려주는 우리가 몰랐던 눈 이야기
시력과 예쁨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공막렌즈를 아시나요?

▶ 저자의 칼럼목록 보기

입력 | 2017-07-06

“공막렌즈? 곡막렌즈? 그게 뭐예요?” 필자가 요즘 자주 듣는 질문이다.
타 병원에서 오래 전 시력교정술을 받은 후 다시 시력 감퇴가 일어나 본원을 방문하는 환자 중 각막 두께가 얇은 경우 공막렌즈를 추천하곤 하는데 대부분은 공막렌즈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공막렌즈는 흔히 잘 알고 있는 서클렌즈를 하드렌즈로 제작한 것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하드렌즈의 한 종류이지만, 일반 소프트렌즈와 비슷한 사이즈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컬러 선택이 가능해 미용적인 효과도 누릴 수 있다. 그리고, 일반 소프트렌즈와는 다르게 렌즈와 각막 사이에 눈물저장고가 있어서 렌즈착용 시 따라오는 건조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공막렌즈를 처방하는 안과는 손에 꼽힐 정도로 많지 않다. 가장 큰 이유는 관련 장비를 갖추는 데 비용이 엄청나게 많이 들어가기 때문. 하지만 더 이상의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시력교정 후에도 컬러 렌즈 착용을 하고자 하는 환자에게 공막렌즈는 가장 좋은 해결방안이 될 수 있다.

공막렌즈는 각막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기 때문에 시력교정술을 받은 환자라도 각막손상 없이 렌즈를 착용할 수 있기에 미용적인 측면에서 컬러렌즈를 착용하고 싶은 환자들에게도 소프트렌즈보다는 공막렌즈 착용을 권한다.

그렇다면, 이 밖에도 어떤 환자들에게 공막렌즈가 적합한 것인지 묻는 환자분들이 많다. 필자는 사실 미용적인 효과보다는 눈 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의사라는 직업을 갖고 있기 때문에 컬러렌즈나 일반렌즈를 착용하는 환자에게도 꼭 렌즈 착용을 해야 한다면 공막렌즈를 착용을 추천하는 편이다. 또, 서두에서 말했다시피 시력교정술을 받은 후 시력이 또 다시 나빠진 경우, 특히, 원추각막이 있는 환자, 각막이식 후에 시력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공막렌즈를 처방한다.

원추각막이 있다면 일반렌즈보다는 자신의 각막형태에 맞게 맞춤제작을 하는 공막렌즈가 적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각막이식 후 또는 시력교정술 후에는 각막손상을 최소로 해야 하기 때문에 각막에 직접 닿지 않는 공막렌즈야 말로 가장 좋은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눈 건강만을 생각한다면 굳이 렌즈 착용을 안 해도 되는 경우에는 렌즈 착용을 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지만, 본원에 내원하는 환자 중 젊은 환자들의 경우 눈 건강과 상관없이 미적 효과를 위해 렌즈 착용을 하고 싶어 한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일반 소프트렌즈든 공막렌즈든 렌즈의 종류를 떠나서 무조건적으로 렌즈착용시간이나 세척횟수, 방법 등 관리를 제대로 해달라고 부탁한다. 눈 건강의 중요성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어린 친구들의 경우렌즈 관리는 소홀한 채 렌즈를 착용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좀 더 인생을 살아본 인생선배로써, 또, 눈 분야의 전문가로써 너무 안타깝기 때문이다. 반드시 렌즈가 필요치 않은 경우라면 최대한 렌즈 착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고, 렌즈 착용이 불가피 한 경우라면 앞으로 남은 수 십 년의 인생을 위해 공막렌즈 착용을 추천한다. 오복 중에 하나라는 말이 있듯이 눈은 우리 신체 부위 중 중요한 부분에 속한다. 허나 한번 나빠지기 시작하면 건강을 되돌리기가 매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미용적인 측면보다는 눈 건강을 먼저 생각 해주길 조언한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GS안과가 들려주는 우리가 몰랐던 눈 이야기

[GS안과]
김무연 원장

김무연 대표원장 (안과 전문의/의학박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원 석•박사
가톨릭중앙의료원 안과 교수
북경 SK 아이캉병원 안과 과장
가톨릭중앙의료원 외래교수

대한안과학회 정회원
미국안과학회(AAO) 정회원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KSCRS) 정회원
미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ASCRS) 정회원
유럽백내장굴절수술학회(ESCRS) 정회원
ASA VISION 아시아태평양센터 대표

우리의 신체기관 중 하나인 '눈'에 초점을 맞춰 인문학 이야기를 들려준다. 역사, 철학, 문학, 예술,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문학에서 눈과 관련된 소재를 발굴하여 들려줌으로써 눈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흥미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