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4-03-20

일반적으로 탈모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미지는 ‘나이 들어 보인다’ 혹은 ‘아저씨 같다’라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젊은 층에서도 탈모가 심심치 않게 발생되며 더 이상 탈모가 중년 남성의 상징이 될 수 없음을 증명하고 있다.
직장생활 3년차인 L씨는 처음 입사하던 20대 후반 부터 늘 과장소리를 들었다.

배가 나왔다거나 얼굴 자체가 나이 들어 보이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20대부터 시작된 탈모가 30대에 들어선 지금은 그를 40대로 보이게 해 L씨를 심난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L씨는 결혼적령기에 들어서며 여태껏 연애를 제대로 해보지 못한 것이 모두 탈모 때문인 것 같아 심각한 고민에 빠졌다.

탈모엔 무엇보다 유전적 요인이 가장 크다. 탈모 증세가 이미 진행되고 있다면 약물치료를 하거나 또는 모발이식 수술을 받을 수 있는데, 약물치료는 탈모가 더 진행되지 않도록 막아줄 수 있지만 이미 빠진 모발엔 크게 효과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탈모가 많이 진행된 경우엔 모발이식이 가장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모발이식 수술은 후두부에서 채취한 자신의 모낭을 이식 부위에 옮겨 심는 것으로 3~4개월부터 눈으로 새로운 모발이 자라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8개월 정도 부터는 풍성해진 모발을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한번 이식된 부위의 모발은 평생 내 머리로 탈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렇다면 L씨의 경우처럼 젊은 층의 탈모가 많아지는 요즘, 그들에게 모발이식만이 해결책인 것일까?
탈모는 더 이상 중년남성의 전유물이 아니다.

오히려 모발이식 수술을 받으러 오는 환자들 중에는 젊은 층이 더 많은데, 나이에 비하면 만만치 않은 비용임에도 불구하고 취업과 결혼, 사회생활에 대한 자신감을 얻기 위해 수술을 결심하는 경우가 많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단 약물치료로 치료가 가능 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라면 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무엇보다 모발이식 수술이든 약물치료든 자신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신이 가장 만족할 수 있는 선택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

L씨는 결국 모발이식 전문병원에 가서 상담을 거친 뒤 모발이식 수술 대신 약물 치료를 시작하기로 했다. 현재 상태에선 아직 수술을 받기 보단 약물치료를 받아도 괜찮겠다는 전문의의 권유에 의해서이다.

탈모는 충분히 치료할 수 있다. 자신의 판단도 중요하지만 맨 먼저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가장 적절한 치료법을 찾는 것이 우선순위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기고자 : 모제림성형외과 황정욱 원장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모발이식 모제림과 행복한 변화

[모제림성형외과]
황정욱 원장

현 모제림 모발이식센터 대표원장
국제미용성형연수센터 자문위원
한국두피모발학회 자문위원
네이버 선정 모발이식 전문 주치의
대한성형외과학회 윤리위원회 간사
대한성형외과학회 모발성형연구회 임원
경북대학교병원 모발이식센터 트리코진 이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모발이식전문 모제림과 함께하는 탈모 탈출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