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화상까지… 강한 자외선, 눈에 어떤 영향?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5/07 08:00
봄은 자외선이 매우 강한 계절이다. 겨우내 약한 자외선에 적응해 있다가 갑자기 높아진 자외선은 우리 몸에 강한 자극을 준다. 선크림만 바를 게 아니라, 눈 보호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자외선은 피부뿐만 아니라 눈에도 위험하기 때문이다.
눈이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되면 눈 속에 활성산소가 생겨 각종 안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자외선B는 각막에 모두 흡수되고, 자외선A는 각막과 수정체에 일부 흡수된 뒤, 일부는 망막까지도 영향을 미친다. 각막에 흡수된 자외선은 각막과 결막에 염증 발병 위험을 키운다. 수정체에 흡수된 자외선은 백내장, 망막에 흡수된 자외선은 황반변성 등 중증 안질환 발병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각막 염증인 광각막염은 자외선이 각막에 화상을 입혀 각막 상피가 점처럼 얇게 파이며 생기는 질환이다. 화상을 입은 순간에는 증상이 없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눈이 아프고, 시야가 흐려지게 된다. 눈물이 날 수도 있다. 대부분 3일쯤 안정을 취하면 낫는다.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병원을 찾아 전문의 처방을 받아야 한다. 백내장(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는 질환)은 주로 노화에 의해 생기지만, 자외선과 같은 환경적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 자외선이 황반변성(막 중심부에 있는 황반이 변성돼 시력장애가 생기는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자외선은 망막 색소 상피층에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황반변성은 초기 증상이 거의 없다가 갑자기 시력 저하 증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평소 자외선 차단에 주의하는 등 평소 철저한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
눈을 보호하려면 자외선이 강한 날은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흐린 날에도 자외선 투과율은 80%에 달하므로, 평소 자외선 지수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 후 야외 활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 지수가 높을 때 야외 활동이 불가피하다면 선글라스를 착용하거나, 양산이나 모자를 써서 눈을 보호하는 게 좋다. 과도하게 짙은 농도의 선글라스는 오히려 가시광선 양을 줄여 동공을 크게 만들고 많은 양의 자외선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기에 눈동자가 들여다보일 정도의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어린이는 특히 눈 보호에 신경 써야 한다. 유아기 수정체는 성인보다 투명하다. 짧은 파장의 빛도 수정체에서 흡수하지 못해, 망막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