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선글라스, 흐린 날에도 써야 하나요?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자외선 차단을 위해서는 흐린 날에도 선글라스를 끼는 것이 눈 건강에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선글라스는 햇볕이 뜨거운 날에만 써야 할까? 그렇지 않다. 자외선 차단을 위해서는 날씨와 관계없이 외출할 때 항상 착용하는 것이 좋다. 상계백병원 안과 황제형 교수는 "자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으며 밝은 날이나 흐린 날이나 항상 지표면에 도달한다"며 "구름이 많이 낀 흐린 날씨라고 하여 자외선 차단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다만, 자외선 차단 방법이 꼭 선글라스만 있는 것은 아니므로 챙이 넓은 모자나 양산 등을 사용하여 자외선을 차단해도 무방하며,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실내에서 선글라스가 필요한 사람들도 있다. 백내장, 녹내장, 시력교정 등 안과질환 수술을 받은 사람들이다. 황제형 교수는 "자외선은 벽을 통해서 반사되기 때문에 직접 노출되지 않더라도 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도 신경을 써야 하며, 실내에서 선글라스 착용이 부담스럽다면 커튼이나 암막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색이 짙은 안경일수록 자외선 차단 기능이 높다고 생각하지만, 안경의 색보다는 자외선 코팅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히려 색이 너무 짙으면 동공을 커지게 해 자외선이 잘 침범할 수 있다. 안경알이 들어 있는 포장에 인증 여부가 기입되어 있어 꼼꼼하게 확인 후 구입해야 하며 특히, UV400 인증을 받은 것은 400nm 이하의 파장을 가진 자외선을 99% 이상 차단한다는 것이므로 지표에 도달하는 UV-A와 UV-B를 대부분 막을 수 있다.

선글라스의 자외선 차단율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떨어지기 때문에 수명이 존재한다. 렌즈 수명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통상 2~3년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선글라스의 수명은 선글라스를 얼마나 자주 사용했느냐에 따라 다르며 특히 사용 과정에서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코팅에 흠집이 생긴 경우 자외선 차단율이 떨어진다.

어린이나 청소년의 선글라스는 더욱 신경 써서 골라야 한다. 유아기는 시력이 계속 발달하는 성장기이며 성인보다 수정체가 투명하며 자외선이 깊게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선글라스를 장시간 쓰면 오히려 시력 발달에 방해가 되므로 자외선이 강한 시간대인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 사이 착용을 권장한다. 활동이 많은 아이의 경우 안전을 위해 유리로 된 렌즈보다는 외부 충격에도 견고한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된 렌즈를 추천한다.

황제형 교수는 "간혹 운전할 때 선글라스를 착용하기 위해 차에 선글라스를 보관하는 경우가 있는데, 선글라스 렌즈는 열에 약하여 뜨거운 차에 오래 보관할 경우 열에 의한 렌즈의 변형이나 코팅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선글라스는 케이스에 넣어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더러워진 렌즈를 닦을 때는 일반 물티슈나 휴지로 닦지 말고 안경 전용 극세사 천이나 렌즈 클리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