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야간에 발생한 뇌경색, 예후 더 나빠"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2/05 06:00
야간에 발생한 뇌경색이 주간에 발생한 뇌경색보다 증상 악화 위험이 높고 예후가 나쁘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동국대일산병원 김동억 교수·㈜JLK 상무이사 류위선 박사(전 동국대일산병원 교수)·분당서울대학교병원 배희준 교수 연구팀은 전국 11개 대학병원 신경과에 급성 뇌경색으로 입원한 1만7461명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예후를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야간(18:00~06:00)에 발생한 뇌경색은 주간(06:00~18:00) 발생 뇌경색에 비해 발병 후 증상이 악화될 위험이 15% 높았다. 또한, 야간 발생 뇌경색 환자들은 3개월째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될 확률이 주간 발생 뇌경색 환자들에 비해 12% 낮았다.
김동억 교수는 "생명체가 지구의 자전에 적응하면서 생긴 24시간 생체시계의 영향력이 뇌경색 발병 시간대에 따른 환자의 예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신비롭게 느껴진다"며 "야간 발생 뇌경색 환자의 예후가 상대적으로 안 좋은 이유가 주-야간 의료의 질 차이 때문이 아니라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으나,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포함한 복합적 원인을 상세히 밝히는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류위선 박사는 "그동안 뇌경색 신약 임상시험이 실패한 이유로 주간 발생 뇌경색 환자들을 주 연구 대상으로 해왔다는 점을 들 수 있다"며 "향후 임상 시험에서는 야간 발생 뇌경색 환자들도 많이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배희준 교수는 "심야 또는 이른 새벽에 발생한 뇌경색의 경우 증상 악화가 더 많기 때문에 기다리지 말고 최대한 빨리 응급실을 방문해서 혈전용해술이나 혈전제거술을 포함한 적극적인 응급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대학중점연구소 사업), 고양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참조표준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PLOS Medicine(Impact factor: 11.07)'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