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눈 핏줄, 한 번 생기면 영원히 안 사라진다?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눈이 건조해 생긴 각막 신생혈관은 일단 생기면 사라지지 않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안구건조에 의한 부작용으로 눈에 비정상적인 혈관들이 생겨날 수 있다. 이를 '각막 신생혈관'이라고 한다. 각막 신생혈관은 혈관이 없어야 할 투명한 각막에 자라는데, 시력을 떨어뜨릴 수 있고 심하면 실명을 유발할 수 있다.

원래 혈관이 없는 각막은 눈물의 순환, 공기 접촉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는다. 그런데 콘택트렌즈를 오래 착용하는 등의 이유로 눈에 산소가 잘 통하지 못하면 안구가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 비정상적인 혈관을 만들어 낸다. 각막 신생혈관은 처음엔 각막의 가장자리에 생기는데, 방치하면 각막 중앙(동공 윗부분)까지 퍼져 시력을 떨어뜨리고 실명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 각막 신생혈관은 정상 혈관보다 약해 출혈이 잦고 진물이 잘 나온다. 진물이 각막을 혼탁하게 해 물체가 찌그러지거나 뿌옇게 보이는 등의 시력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염증도 자주 생긴다.

신생혈관은 일단 생기면 사라지지 않고 치료도 안 된다. 스테로이드성 약물로 증상을 잠시 완화시킬 수는 있지만 주사나 레이저 치료, 수술로도 완치가 어렵다. 최후 수단인 각막이식도 거의 불가능하다. 새로운 신체조직을 이식했을 때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면역구들이 신생혈관을 따라 각막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막 신생혈관이 이미 생겼다면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게 최선의 방법이다. 콘택트렌즈는 되도록 착용하지 말고 꼭 착용해야 한다면 소프트렌즈보다 산소투과율이 높은 하드렌즈를 택하고 색소를 입힌 컬러 렌즈는 피한다. 렌즈 착용은 하루 6~8시간 이내로 제한하고, 눈이 충혈되거나 피로하면 단 10분이라도 렌즈를 빼야 한다. 평소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화면을 너무 오래 보지 말고, 인공눈물을 자주 넣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