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손발 저리고 욱신… 허리디스크·뇌 질환이 원인?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0/11/12 20:00
손발이 저린 증상을 자주 느끼는 사람이 많다. 보통 손발이 저리면 혈액순환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로는 말초신경병, 관절염, 척추질환, 뇌 질환 등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다. 원인도 다양하고 개개인별 증상도 다르므로 증상을 정확히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의학에서는 침·봉독약침·한약치료 등으로 증상을 완화한다.
말초신경병·관절염 손발저림과 통증의 주요 원인
손발저림 증상이 생기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은 바로 말초신경병이다. 다양한 원인으로 팔다리의 말초신경이 손상되면서 ▲이상감각 ▲감각저하 ▲저림증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통증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관절이나 인대에 의해 말초신경이 압박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엄지, 검지, 중지 손가락에 저린 증상을 호소한다. 관절염도 손발이 저리거나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 중 하나로, 관절 부위의 통증·부종 및 관절 변형이 주요 증상이다. 아침에 일어날 때 손이 뻣뻣하면서 저리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하고 팔다리를 많이 쓰거나 습한 날씨에 통증 부위가 무겁게 느껴지거나 저릿한 이상감각이 나타나기도 한다.
척추신경 문제로 발생하는 추간판탈출증도 저림과 통증 유발
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등 척추질환으로 인해 손발저림이 생길 수도 있다. 척추신경에 문제가 생기면서 말초신경까지 영향을 끼친 것이다. 목디스크가 생겨도 특징적으로 손저림증과 함께 팔에서 손가락까지 전기가 오는 듯한 찌릿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허리디스크가 원인이라면 허리 통증을 동반하면서 아래 다리 옆쪽이나 뒤쪽으로 선을 따라 저려온다.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손발저림은 저림증 외에 시린 증상이 동반되고, 날씨가 추울 때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밖에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피로가 지속되거나, 소화나 수면 상태가 좋지 않아도 저림증이 나타날 수 있다.
명확한 진단이 먼저, 침·봉독약침으로 증상 완화
효과적인 한의학적 치료를 위해서는 손발저림과 통증에 대한 명확한 진단이 필요하고 이와 더불어 한의학적 병증에 대한 접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저림증’, ‘이상감각’, ‘감각저하’ 증상은 한의학적으로 비증에 속한다. 비증은 정기가 부족해 기혈이 허약해진 상태에서 근골, 신경, 경락, 피부의 순행이 원활하지 못해 감각이 이상해지거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팔다리의 말초신경이나 척추신경에 문제가 있어 저림이나 통증을 호소할 때는 침이나 봉독약침 치료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기혈순환, 정기부족으로 인해 저림과 통증 외에 시린감 등의 이상감각이 동반될 때에는 체질과 한의학적 변증에 따른 한약치료를 한다.
생활 속 손발 저림 예방수칙
강동경희대한방병원 침구과 박연철 교수는 "비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신체를 건강한 아이들처럼 '정혈'이 왕성해 유연하고 부드럽게 만들어야 한다"며 "기혈의 생성을 원활하게 하려면 제철에 나는 건강한 음식들을 개인의 체질에 따라 구분해 적절하게 섭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혈이 안정화되고 왕성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오후 11시 이전에는 잠자리에 들어 충분히 자는 것이 좋다. 근골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체의 모든 관절을 운동으로 풀어준다. 무엇보다 저림이나 통증이 발생했다면 전문가를 찾아 증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진단해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