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1-12-31
안과의사라는 직업 특성상 ‘시력이 어떻게 되세요?’ 라는 질문을 할 때가 많다. 그러면 ‘저는 눈이 좋은 편이에요’ 혹은 ‘저는 마이너스 시력이에요.’ 등의 다양한 대답을 듣는다. 그런데 사실 ‘마이너스 시력’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시력 검사 할 때 쓰이는 시력검사표를 떠올려 보자. 제일 상단에 있는 물체를 볼 수 있는 시력은 보통 0.1로 측정된다. 그렇다면 0.1에 해당하는 숫자를 읽을 수 없는 사람은 마이너스 시력을 가진 것일까? 그렇지 않다. 시력검사표가 0.1에서 시작하는 것은 시력이 아무리 나빠도 0보다 낮게 측정될 수는 없다는 뜻. 시력이 아예 없어 실명인 상태를 0으로 표현하므로, 시력이 좋지 않다면 0에 가까운 숫자일 수는 있겠지만 음수일 수는 없다.
그렇다면 왜 시력을 마이너스로 표현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을까? 이는 안경 처방전이나 렌즈 도수 표에 써 있는 숫자들 앞의 마이너스 (-) 표시를 본인의 시력이라 착각했을 가능성이 높다. 마이너스는 단지 시력을 교정하기 위한 렌즈 종류를 나타낼 뿐이다. 근시가 있어 오목렌즈로 시력을 교정해야 한다면 마이너스 (-) 기호를, 원시로 인해 볼록렌즈를 사용해야 한다면 숫자 앞에 (+) 기호를 붙여 교정량을 표시한다.
올바른 시력의 단위는 ‘D(디옵터)’이다. 디옵터는 렌즈의 굴절력을 나타내는데, 렌즈의 초점거리를 미터로 표시한 수의 역수이다. 만일 당신의 시력이 ‘-3.75D’라면, ‘-3.75D’는 [마이너스 삼쩜 칠오 디옵터]라고 읽어야 한다. 이 경우, 오목렌즈를 사용하여 3.75만큼 굴절량을 교정하면 선명한 시야를 되찾을 수 있음을 뜻한다.
명심하자. 시력은 0보다 낮을 수 없고, 안경 처방전의 (+), (-) 기호는 볼록렌즈를 사용하느냐, 오목렌즈를 사용하느냐에 대한 표기일 뿐이라는 것을! 본인의 정확한 시력을 알고 싶다면 ‘저는 몇 디옵터인가요?’ 라고 물을 것을 권한다.
노안, 백내장, 시력교정술 (라식, 라섹 렌즈삽입술) 등 경험을 바탕으로 각 주제에 대해서 정확하고 재미있는 정보를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