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질환

전립선암, ‘이것’ 확인하면 불필요한 MRI검사 안 받아도 돼

전종보 기자

이미지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전립선건강지수’를 활용하면 전립선암 환자의 불필요한 MRI검사를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립선암은 다른 장기로 전이와 합병증이 없이 전립선암만 있으면 생존율 100%에 가까운 암이다. ‘전립선 특이항원(PSA)​’을 활용한 조기진단 덕분인데, 일반적으로 PSA가 4ng/mL 이상이면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그러나 ‘​PSA 진단 회색지대’​로 불리는 4~10ng/mL 범위에서는 조직검사를 시행해도 양성 진단율이 22% 정도에 불과해 불필요한 조직검사율이 높은 편이다. 조직검사는 경직장 초음파를 활용해 전립선에 바늘을 찌르는 침습적 검사로 출혈, 통증, 감염 등 합병증 위험이 따른다. 이를 피하기 위해 조직검사 전 MRI를 시행하지만, 이 또한 회당 비용이 100만원에 달해 경제적 부담이 크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팀은 PSA 수치가 4~10ng/mL인 환자에서 불필요한 MRI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전립선건강지수(PHI)와 PSA를 전립선 크기로 나눈 값(PSA 밀도, PSAD)을 활용해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는 2019년 4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전립선건강지수(PHI)검사와 MRI를 모두 받은 전립선암 회색지대(PSA 4~10ng/mL) 환자 44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PSA 회색지대에 해당하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주요한 전립선암을 예측하기 위한 PHI와 PSAD 최적 값은 각각 39.6, 0.12ng/mL²으로 확인됐다. 각각의 바이오마커는 28.7%~31.8% 비율로 불필요한 MRI를 줄일 수 있었다.


PHI와 PSAD를 조합해 진단에 활용할 경우 MRI 사용을 최대 20.1% 줄이면서도 전립선암 진단 누락은 6.2%에 그쳤다. 반면 PHI 또는 PSAD를 단독 바이오마커로 활용했을 때는 전립선암 진단을 놓칠 확률이 각각 13.6%, 14.8%에 달했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PSA 수치가 회색지대에 포함되는 환자에서 불필요한 MRI 검사를 줄이기 위해 PHI를 바이오마커로 활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며 “PHI 외에도 다양한 혈청, 소변 검체를 기반으로 하는 전립선암 바이오마커 개발을 위해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비뇨의학 학술지이자 SCIE인 ‘비뇨세계학술지’에 게재됐다.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