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립선건강지수’를 활용하면 전립선암 환자의 불필요한 MRI검사를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립선암은 다른 장기로 전이와 합병증이 없이 전립선암만 있으면 생존율 100%에 가까운 암이다. ‘전립선 특이항원(PSA)’을 활용한 조기진단 덕분인데, 일반적으로 PSA가 4ng/mL 이상이면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그러나 ‘PSA 진단 회색지대’로 불리는 4~10ng/mL 범위에서는 조직검사를 시행해도 양성 진단율이 22% 정도에 불과해 불필요한 조직검사율이 높은 편이다. 조직검사는 경직장 초음파를 활용해 전립선에 바늘을 찌르는 침습적 검사로 출혈, 통증, 감염 등 합병증 위험이 따른다. 이를 피하기 위해 조직검사 전 MRI를 시행하지만, 이 또한 회당 비용이 100만원에 달해 경제적 부담이 크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팀은 PSA 수치가 4~10ng/mL인 환자에서 불필요한 MRI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전립선건강지수(PHI)와 PSA를 전립선 크기로 나눈 값(PSA 밀도, PSAD)을 활용해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는 2019년 4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전립선건강지수(PHI)검사와 MRI를 모두 받은 전립선암 회색지대(PSA 4~10ng/mL) 환자 44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PSA 회색지대에 해당하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주요한 전립선암을 예측하기 위한 PHI와 PSAD 최적 값은 각각 39.6, 0.12ng/mL²으로 확인됐다. 각각의 바이오마커는 28.7%~31.8% 비율로 불필요한 MRI를 줄일 수 있었다.
PHI와 PSAD를 조합해 진단에 활용할 경우 MRI 사용을 최대 20.1% 줄이면서도 전립선암 진단 누락은 6.2%에 그쳤다. 반면 PHI 또는 PSAD를 단독 바이오마커로 활용했을 때는 전립선암 진단을 놓칠 확률이 각각 13.6%, 14.8%에 달했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PSA 수치가 회색지대에 포함되는 환자에서 불필요한 MRI 검사를 줄이기 위해 PHI를 바이오마커로 활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며 “PHI 외에도 다양한 혈청, 소변 검체를 기반으로 하는 전립선암 바이오마커 개발을 위해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비뇨의학 학술지이자 SCIE인 ‘비뇨세계학술지’에 게재됐다.
전립선암은 다른 장기로 전이와 합병증이 없이 전립선암만 있으면 생존율 100%에 가까운 암이다. ‘전립선 특이항원(PSA)’을 활용한 조기진단 덕분인데, 일반적으로 PSA가 4ng/mL 이상이면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그러나 ‘PSA 진단 회색지대’로 불리는 4~10ng/mL 범위에서는 조직검사를 시행해도 양성 진단율이 22% 정도에 불과해 불필요한 조직검사율이 높은 편이다. 조직검사는 경직장 초음파를 활용해 전립선에 바늘을 찌르는 침습적 검사로 출혈, 통증, 감염 등 합병증 위험이 따른다. 이를 피하기 위해 조직검사 전 MRI를 시행하지만, 이 또한 회당 비용이 100만원에 달해 경제적 부담이 크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팀은 PSA 수치가 4~10ng/mL인 환자에서 불필요한 MRI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전립선건강지수(PHI)와 PSA를 전립선 크기로 나눈 값(PSA 밀도, PSAD)을 활용해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는 2019년 4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전립선건강지수(PHI)검사와 MRI를 모두 받은 전립선암 회색지대(PSA 4~10ng/mL) 환자 443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PSA 회색지대에 해당하는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주요한 전립선암을 예측하기 위한 PHI와 PSAD 최적 값은 각각 39.6, 0.12ng/mL²으로 확인됐다. 각각의 바이오마커는 28.7%~31.8% 비율로 불필요한 MRI를 줄일 수 있었다.
PHI와 PSAD를 조합해 진단에 활용할 경우 MRI 사용을 최대 20.1% 줄이면서도 전립선암 진단 누락은 6.2%에 그쳤다. 반면 PHI 또는 PSAD를 단독 바이오마커로 활용했을 때는 전립선암 진단을 놓칠 확률이 각각 13.6%, 14.8%에 달했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PSA 수치가 회색지대에 포함되는 환자에서 불필요한 MRI 검사를 줄이기 위해 PHI를 바이오마커로 활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며 “PHI 외에도 다양한 혈청, 소변 검체를 기반으로 하는 전립선암 바이오마커 개발을 위해 연구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 비뇨의학 학술지이자 SCIE인 ‘비뇨세계학술지’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