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기존 수직 인대 남겨야 해"

이슬비 기자

이미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았다가 또 파열돼 다시 수술을 진행할 때, 기존에 남아 있는 수직 인대를 보존해 치료하는 게 더 불안정성이 적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받았다가 또 파열돼 다시 수술을 진행할 때, 기존에 남아 있는 수직 인대를 보존해 치료하는 게 더 불안정성이 적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무릎 전방 십자 인대는 무릎이 앞으로 빠지거나 회전할 때 안정성을 제공하는 인대로, 무릎 전방십자인대는 과도한 충격을 받거나 심하게 비틀리는 경우 파열이 될 수 있다. 보통 무릎 전방 십자인대 파열 수술은 파열된 십자인대를 제거하거나, 일부를 남겨두고 인대를 대체하는 힘줄을 이식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런 수술에도 재파열되거나, 기능이 떨어지면 재수술을 시행한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 손동욱 교수팀은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을 했을 때 수직 십자인대를 남겨놓는 게 나은지 확인하기 위해 기존 전방십자인대가 수직 방향으로 시행돼 회전 불안정성이 있는 74명을 비교 분석했다. 불안정성은 X-ray 동요 검사와 신체검진을 통해 측정했다.


그 결과, 수직 전방십자인대를 보존한 채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을 시행한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전후방 불안정성이 더 적었다. 특히 기존의 전방십자인대가 비해부학적 수직 위치에서 50% 이상 남아있을 때, 전방 십자 인대 재재건술 이후 전후방 불안정성이 유의하게 더 적었다.



이미지

기존 수직 인대를 남겨두고 재재건술을 시행한 사진./사진=강북삼성병원
손동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전방 십자인대 재재건술에서 전후방 불안정성을 유의하게 호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앞으로도 환자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번 논문은 미국 스포츠 의학 저널인 'OJSM(Orthopaedic jounal of sports medicine)' 3월 호에 발표됐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