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일반
심혈관질환, 젊은 사람에게도 위협적… 혈압과 콜레스테롤 관리해야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3/03/22 08:55
고혈압과 고지혈증은 더 이상 나이 든 사람에게만 위협적인 질환이 아니다. 우리나라 20~39세 젊은 고혈압 환자는 약 127만명, 고혈압 전 단계 추정인구도 약 340만명에 달한다. 40대 고혈압 유병자는 25%, 40대 남성의 이상 지질혈증 유병률은 55.8%에 이른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흔히 프래밍험 위험지수(FRS)로 평가하곤 하는데, ▲성별 ▲나이 ▲총콜레스테롤 수치 ▲흡연 여부 ▲HDL콜레스테롤 수치 ▲수축기 혈압 ▲혈압약 복용 여부 등으로 산정한다. 10% 미만이 위험도 낮음, 10~20%는 중등도 위험, 20%가 초과했을 때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성별, 나이 등이 교정 불가능한 위험 요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HDL을 포함한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압이 심혈관질환 위험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항목들인 셈이다. 콜레스테롤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면 혈압이 높아지고, 높은 혈압으로 혈관 내부에 상처가 나면 다시 그 부위에 콜레스테롤이 쉽게 쌓이게 된다. 혈관이 망가지는 악순환이 반복돼 협심증, 심근경색 등 발병 위험이 커진다.
콜레스테롤을 낮추려면 정제된 탄수화물, 포화·트랜스지방 섭취를 줄여야 한다. 혈압 조절을 위해서는 염분 섭취를 줄이는 것이 좋다. 건강기능식품을 먹는 것도 한 방법이다. 현재 식약처 인정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콜레스테롤과 혈압 조절의 2중 기능성을 모두 인정받은 원료는 쿠바산 폴리코사놀-사탕수수왁스알코올이 유일하다. 쿠바 국립 과학연구소에 따르면, 폴리코사놀-사탕수수왁스알코올을 매일 20㎎씩 4주간 섭취했을 때 HDL수치는 29.9% 상승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인체적용시험 결과에선 20㎎을 12주간 섭취했을 때 수축기 혈압이 7.7%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