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술 안 마셔도 생기는 지방간이 불러오는 ‘의외의 질환’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술을 적게 마시거나 아예 마시지 않아도 ‘지방간’이 발생할 수 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음주량과 관계없이 간에 지방이 쌓이는 질환으로,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 부족, 과도한 영양 섭취 등이 원인이다.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도 신체가 사용하고 남은 영양분이 중성지방으로 간에 쌓이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생길 수 있다. 방치하면 간암, 간경변증 등으로 발전하는 것은 물론, 혈관을 손상시키고 다른 장기에 영향을 줄 위험도 있다.

최근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연구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치매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 30년 간 ‘스웨덴 국가 환자 기록’에 등록된 65세 이상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2898명의 건강정보를 확인했다. 이후 진단 당시 환자들과 연령, 성별, 거주지 등이 일치하면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앓고 있지 않았던 사람 2만8357명의 건강상태를 비교·분석했다.

연구결과, 평균 5년 이상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의 치매 진단률은 5%(145명)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앓지 않았던 사람(4.6%, 1291명)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고혈압, 당뇨병 등 일반적인 심혈관질환 위험 요소를 고려해 데이터를 조정한 결과에서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가 간 질환이 없는 사람에 비해 치매 발병률이 38%가량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뇌 혈액공급 문제로 발생하는 ‘혈관성 치매’의 경우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의 발병률이 44% 높았다. 간질환과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 또한 치매 위험이 50%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간질환과 뇌졸중이 있는 사람은 2.5배까지 치매 위험이 상승했다. 반면 두 그룹 간 알츠하이머병 발병률은 큰 차이가 없었다.

연구진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인해 뇌혈관이 손상되면서 치매 위험이 높아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를 진행한 잉샹(Ying Shang) 박사는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치매의 일반적인 위험 요소에는 고혈압, 당뇨병, 비만과 같은 대사 장애가 포함된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이 같은 위험 요소와 상관없이 간질환과 치매 위험 사이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결과는 간질환과 함께 발생하는 심혈관질환을 치료하면 치매 위험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Neurology 온라인호에 최근 게재됐다.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