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알코올성 지방간이라면 근 손실이 더 많이, 더 빨리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거의 마시지 않는데도 간에 지방이 쌓이는 질환이다. 보통 과당 식품을 많이 먹고,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았을 때 잘 생긴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곽금연·신동현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 건강의학센터 강미라 교수 연구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근육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지난 2006년부터 2016년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최소 두 차례 이상 건강검진을 받았던 20세 이상 성인 남녀 5만 2815명을 실험 대상자로 설정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들의 평균 나이는 49.1세로, 초음파 검사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받은 사람은 전체 31.9%인 1만 6859명이었다.
연구팀은 생체 전기 임피던스 측정기법(BIA)으로 사지 근육량의 변화를 측정했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여부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나이가 들수록 근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근육량이 평균 25%가량 더 많이 감소했다. 5년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사람은 근육이 평균 281.3g, 없는 사람은 225.2g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중 간 섬유화가 진행됐다면 약 2배 정도 더 많은 근 손실이 나타났다. 또한, ▲50대 미만이거나 ▲당뇨나 고지혈증을 동반했거나 ▲흡연하거나 ▲음주량이 많은 사람일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근 손실과의 상관관계가 더욱 두드러졌다.
곽금연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으면 체내 단백질 합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대사성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근 손실이 일어나기 쉽다"면서 "골격근이 줄어들면 그 자체로 질환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질환의 발생을 부추기고 치료도 어렵게 만드는 만큼 가벼이 봐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라면 체중은 줄이면서 근육은 키우는 운동을 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간학회 공식 학술지 '헤파톨로지(Hepat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거의 마시지 않는데도 간에 지방이 쌓이는 질환이다. 보통 과당 식품을 많이 먹고,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았을 때 잘 생긴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곽금연·신동현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조주희·강단비 교수, 건강의학센터 강미라 교수 연구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근육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지난 2006년부터 2016년 사이 삼성서울병원에서 최소 두 차례 이상 건강검진을 받았던 20세 이상 성인 남녀 5만 2815명을 실험 대상자로 설정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들의 평균 나이는 49.1세로, 초음파 검사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진단받은 사람은 전체 31.9%인 1만 6859명이었다.
연구팀은 생체 전기 임피던스 측정기법(BIA)으로 사지 근육량의 변화를 측정했고, 비알코올성 지방간 여부에 따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나이가 들수록 근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근육량이 평균 25%가량 더 많이 감소했다. 5년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는 사람은 근육이 평균 281.3g, 없는 사람은 225.2g 떨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 중 간 섬유화가 진행됐다면 약 2배 정도 더 많은 근 손실이 나타났다. 또한, ▲50대 미만이거나 ▲당뇨나 고지혈증을 동반했거나 ▲흡연하거나 ▲음주량이 많은 사람일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근 손실과의 상관관계가 더욱 두드러졌다.
곽금연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있으면 체내 단백질 합성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대사성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근 손실이 일어나기 쉽다"면서 "골격근이 줄어들면 그 자체로 질환이 되기도 하지만 다른 질환의 발생을 부추기고 치료도 어렵게 만드는 만큼 가벼이 봐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라면 체중은 줄이면서 근육은 키우는 운동을 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간학회 공식 학술지 '헤파톨로지(Hepat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