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실명 유발 망막박리, 눈 나쁜 사람이 고위험군"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우세준 교수팀 연구

이미지

젊은층에서 생기는 '망막박리'의 원인이 '근시'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젊은층에서 생기는 '망막박리'의 원인이 '근시'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우세준 교수팀이 2003~2018년 망막박리 수술을 받은 환자 1599명의 나이별 근시 정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망막박리의 발병률은 20대와 50대가 다른 연령대보다 높아 그래프가 '양봉형' 양상을 보였다. 또한 50세 미만의 젊은 망막박리 환자에서는 고도근시 비율이 50~60%, 근시 비율은 90%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지만, 50세 이상의 연령에서는 고도근시 비율이 10% 이하, 근시 비율은 20~30% 정도로 젊은 연령대 환자와는 크게 차이가 났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는 고도근시로 인해 발생한 유리체 액화(젤 형태의 유리체가 물로 변하는 현상)와 유리체 박리가 이른 나이의 망막박리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근시가 아닌 경우에는 유리체 액화와 유리체 박리가 노화에 의해 나타나고 이는 50세 이후가 되면서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했다.

우세준 교수는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젊은 나이에도 망막박리가 흔하지만 서양에서는 주로 노인에서 발생한다는 인종적 차이가 있다”며 “아시아 국가에서는 근시 인구가 많고 결과적으로 근시와 망막박리의 관련성으로 인해 젊은 연령층에서도 망막박리의 발병률이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고도근시 환자라면 10~20대부터 망막박리 발생 위험성이나 주변부 망막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망막박리는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지만, 시력 장애가 발생하기 전에는 눈앞에 날벌레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비문증, 빛이 번쩍거리는 듯한 광시증, 검은 커튼을 친 것처럼 시야가 까맣게 변하는 시야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즉시 수술하지 않고 방치하면 안구가 위축되거나 실명에 이를 수도 있는 응급질환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메드 리서치 인터네셔날(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미지

분당서울대병원 망막박리 환자들의 연령대별 근시 비율/사진=분당서울대병원 제공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