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올겨울 최강 한파, 추위로 생기는 턱관절 장애 예방법!
허다민 헬스조선 인턴기자
입력 2014/12/17 14:02
올겨울 최강 한파가 전국에 찾아왔다. 올겨울 최강 한파로 아침 기온은 영하 12도 내외로 떨어졌다. 낮 기온도 계속 영하로 머물러 추울 예정이다. 올겨울 최강 한파로 내일은 기온이 더 떨어져 오늘보다 추울 것으로 전망돼 올겨울 최강 한파에 대비해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계속되는 추운 날씨에 턱관절을 조심해야 한다. 추운 날씨 속에 있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이를 꽉 다물어 턱이 뻐근해진 경험이 한 번쯤 있을 것이다. 이는 기온이 떨어지면 추위를 이기려고 자신도 모르게 이를 꽉 다물게 돼 근육이 긴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습관이 심해지면 턱관절 주위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턱관절 장애가 생기기 쉽다.
턱관절은 얼굴 옆면 양쪽 관자뼈 밑, 귓구멍 바로 앞에 있다. 이곳에서 입을 벌리거나 다물 때 소리가 난다면 턱관절 장애를 의심해봐야 한다. 턱관절 장애로 통증이 오래가면 뇌의 신경계가 흥분하면서 신호전달에 이상이 생긴다. 심해지면 실제 문제가 없는 머리 근육이나 뺨·치아 등에 통증이 느껴질 수 있다.
턱관절 장애는 추운 날씨뿐 아니라 잘못된 생활 습관으로 더 발생하기 쉽다. 턱관절 장애가 심해지면 치아 부정교합, 안면 비대칭 등 외형에도 변화가 일어나므로 잘못된 생활습관을 개선해야 한다. 턱관절을 과도하게 쓰는 딱딱한 음식을 피하고, 이 악물기, 이갈이, 턱 괴기, 한쪽으로만 씹는 등의 행동은 삼가야 한다.
추워지는 날씨에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낮은 기온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밖에서 오래 머물러야 한다면 근육 긴장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의식적으로 근육을 이완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또, 혈액순환장애로 근육에 피로도가 심해질 수 있으므로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루 6회 혀를 위 앞니 안쪽에 가볍게 대고, 혀가 이에서 떨어지지 않을 정도까지 최대한 입을 벌려 6초 동안 유지하는 것을 6회 반복하는 일명 '6·6·6' 운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