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식의 <당신의 눈, 안(眼)녕하십니까?>
사람마다 다른 눈, 정말 나에게 맞는 시력교정법이 있을까?

▶ 저자의 칼럼목록 보기

입력 | 2019-07-05

여름이 시작됐다. 안과는 여름이 되면 바빠진다. 두 달간의 방학 기간을 이용해 미뤄왔던 시력교정 수술을 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좋은 시력으로 휴가를 즐기기 위한 직장인들의 발길도 부쩍 늘어난다.  

수술 전, 환자의 수술 조건을 체크하고 상담할 때 환자들이 항상 묻는 질문 중 하나는 수술법과 관련된 질문이다. “선생님. 그동안 수술 많이 하셨을텐데, 솔직히 제일 좋은 수술은 무엇인가요?” 질문에 대한 답은 언제나 같다. “제일 좋은 시력교정 수술은 없습니다.” 대답을 들은 환자들은 당황스러운 눈초리로 다음 말을 기다리곤 한다.  

사람마다 생긴 것이 다르고 성격이 다르듯 눈 역시 개인 고유의 특성이 있다. 때문에 개인이 가진 눈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가장 좋은 수술이 있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단, 내 눈에 적합한 수술은 분명히 있다. 각막 모양, 각막 두께, 안구건조증 정도 등 눈 조건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좋은 시력을 얻기 위해 수술 후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하나하나 고려한 수술 방법을 찾다 보면, 조금은 복잡하지만 나에게 꼭 맞는 수술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환자는 병원에 방문할 때마다 혼란스럽다. A병원에서는 라섹을 추천하고, B병원에서는 스마일라식이 나에게 적합하다고 하니, 어떤 의사가 나에게 정말 맞는 수술을 알려주는지 판단할 기준이 없어 당황스럽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객관적이고 투명한 수술 진단 기준이 필요해졌다. 그 기준을 보여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술 진단이다. 

누적되고 정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만든 시력교정 예측 프로그램은 ▲수술가능 여부 ▲수술 방법 ▲수술 별 예상 교정시력을 보여준다. 그동안 자신의 눈을 걸고 시력을 위한 일종의 도박을 했던 환자들에게는 이러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술 전 미리 수술별 예상 시력과 어떤 수술법이 1.0 이상의 시력을 보여주는지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인공지능을 무작정 믿고 수술방법을 결정할 필요는 없다. 인공지능은 수많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과거 나와 비슷한 수술 조건의 결과값을 찾아 예측하는 것이다. 수술법 결정은 환자와 안과전문의가 인공지능이 보여준 결과값과 현재 상황, 재정 상태, 라이프스타일 등을 통합하여 내리는 것이 적합하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인식의 <당신의 눈, 안(眼)녕하십니까?>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
이인식 대표원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안과전문의
연세대학교 의학박사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안과 외래 교수
미국 백내장굴절수술학회 정회원
실로암 안과병원 과장 역임
카이스트파팔라도 메디컬센터 겸직교수

노안, 백내장, 시력교정술부터 전신상태까지! 의학과 인문학, 생생한 병원 이야기와 트렌드를 결합시킨 재미있는 눈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