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2-02-17

눈 앞에 검은 점이나 동그라미, 머리카락 같은 실 모양, 희미한 아지랑이 같은 것들이 왔다 갔다 떠다니고, 이 같은 증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망막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일명 ‘날파리증’이라고도 부르는 비문증은 대부분 눈에 무언가 들어갔거나 노안이겠거니 생각하고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지만,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눈질환의 전조 증상일 수 있어 전문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하다.

우리 눈 속에는 유리체라는 젤리 같은 투명한 물질이 가득 차 있어서 안구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눈으로 들어온 빛이 망막에 잘 전달될 수 있게 해준다. 그런데 망막질환, 노화, 외부 충격 등으로 유리체변성이 생겨 투명한 성질을 잃게 되면, 유리체 속에 혼탁이 망막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이것이 눈 앞에 무언가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비문증을 일으킬 수 있다.

비문증은 사람마다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실타래, 먼지, 날파리, 얼룩, 점 등이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고, 특히 밝은 배경의 벽이나 흰 종이를 배경으로 볼 때 이러한 현상이 더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비문증은 세월이 가면서 생기는 자연스런 노화 증상이므로,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다. 다만, 없던 증상이 새로 나타난다 거나, 기존 증상이 심해졌다면 망막이나 유리체 질환 등의 초기 증상일 수 있기 때문에 안과를 방문해 꼼꼼한 안저검사를 받아야 한다.

눈 안쪽은 외부의 시각 자극을 인지하는 역할을 하는 망막으로 덮여 있다. 만약 망막에 구멍이 생기는 열공이 생기거나, 열공이 진행되어 망막이 안구내벽으로 분리되는 망막박리의 초기 증상으로 비문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비문증을 느끼는 경우에는 빠른 시간 안에 안저검사를 받도록 한다. 그 외에 비문증의 원인에는 눈속 염증, 출혈, 수술 등이 있으며, 이런 질환에 의한 비문증은 각각 질환에 대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유리체혼탁의 크기가 커서 시축을 가리거나, 일상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의 심한 비문증의 경우에는 레이저치료 또는 수술치료도 고려해볼 수 있으므로, 망막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 보길 권유한다. 다만 대부분의 비문증은 시력에 영향을 주지도 않고, 시간이 가면서 느끼는 빈도도 적어지므로 치료를 받지 않아도 괜찮다. 레이저나 수술적 치료는 대부분 안전하지만, 매우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나 위험성에 대해 충분한 진료와 상담 후 치료를 결정해야 한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망막이야기

[SNU청안과의원]
김태완 대표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박사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진료운영담당 역임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안과 과장 역임

2016년 대한안과학회지 우수 심사위원상
2015년 보라매병원 학술상
2014년 한국망막학회 학술상
대한안과학회 정회원
미국안과학회(AAO) 정회원
대한안과학회 전문의 시험 출제위원
대한안과학회 대한안과확회지 심사위원
한국포도막학회 학술간사 역임
의사상자심사위원회 의학 자문위원 (보건복지부장관 위촉)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전문위원 (고용노동부장관 위촉)
한국망막학회 보험이사
한국포도막학회 편집이사

각종 망막질환 및 포도막 관련 질환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